소심하고 겁 많고 까탈스러운 여자 혼자 떠나는 걷기 여행 4 - 네팔 트레킹 편 소심하고 겁 많고 까탈스러운 여자 혼자 떠나는 걷기 여행 4
김남희 글.사진 / 미래인(미래M&B,미래엠앤비)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새벽에 일찍 잠에서 깼다. 5시가 채 안 된 시간. 행복한 시간이다. 고요한 사위 속에서 나를 발견할 수 있는 시간이기도 하다. 무엇을 할까 고민하다가, 어제 못 다 읽은 책을 마저 읽기로 했다. <소심하고 겁 많고 까탈스러운 여자 혼자 떠나는 걷기 여행 4>. 개그에 몸개그란 게 있다면 이 책은 몸글이라 해야 하나? 온몸을 내던져 쓴 여행기. 그래서 그 울림이 더 오래 남는가 보다.

책은 세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트레킹 코스에 따라서 말이다. 에베레스트와 안나푸르나 베이스캠프 트레킹을 다룬 앞의 두 코스가 일행과 함께 떠난 여행이라면, 마지막 '랑탕, 고사인쿤드' 트레킹 코스는 그야말로 혼자 떠난 여행이었다. 개인적으로 글을 놓고 보자면, 앞의 두 코스보다는 마지막 코스의 글이 더 마음에 들었다. 앞의 글들이 (일행 때문인지) 무엇에 쫓기듯, 조금은 무신경하고 조금은 서두르는 듯한, 조금은 재미없게 그저 풍경과 숙소와 식사메뉴와 자잘한 사건들의 나열이라면, 세 번째 글은 혼자 겪는 여행의 맛을 느낄 수 있게 해주었다. 두 곳을 허겁지겁 달려온 뒤 세 번째에서 여유를 되찾은 느낌이랄까. 시간과 동행의 굴레에서 자유로워진 저자의 영혼이 느껴졌다. 그리고 왜 소심하고 겁 많고 까탈스럽다고 했는지, 그 제목으로 상상한 부분들을 연상할 수 있었다. 아주 적절한 제목을 단 출판사에 박수를 보내고 싶다.

그저 걷는 것을 좋아할 뿐 전문적인 트레킹이라는 걸 해보지는 않았지만, 책을 통해 네팔의 고원들을 걷고, 설경을 만끽하고, 그 속에 담긴 사람과 자연들의 숨소리를 전해들을 수 있어 행복했다. <오래된 미래>를 통해 문명의 파괴력이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있듯이, 자연과 하나가 되어 살던 현지 사람들이 점점 자연과 동떨어진 삶을 살아가게 된다고 생각하면 씁쓸함이 느껴진다. 참, 어렸을 적 일기를 읽는 듯한 신선함과 따뜻함을 느낄 수 있는 책에서 각 장 앞머리에 자리 잡은 '다른 이'들의 문구는 이 책을 읽는 데 거슬렸다.

한 일간지에서 유럽 어딘가를 열심히 걸으면서 전해주는 글들을 보았다. 다음 여행지에서 만날 그를 기다려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선의 왕과 신하, 부국강병을 논하다
신동준 지음 / 살림 / 2007년 11월
평점 :
절판


사회를 보는 시각은 사회학자의 수만큼이나 다양하다고 한다. 역사도 거의 마찬가지가 아닐런지. 어느 대목의 어느 내용을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역사에 대한 해석도 분분하리라. 600여쪽에 이르는 이 책을 읽으면서 떠오르는 단어는 지난해 미국에서 올해의 단어로 뽑힌 단어라고 하는 '트루시니스'였다.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믿고 싶은 것만 믿는다는 이 말. 세조나 연산군을 비롯한 여러 사람들에 대한 평가가 잘못되었다고 보고 나름대로 변호를 하지만 설득력은 왠지 떨어져 보인다. 역사서에 어울리게 책꼴을 만든 분들에게는 박수를 보내지만, 내용은 제목과는 별 상관이 없는 듯해 보인다. 논(論)이 아니라 쟁(爭)이라 해야 어울리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주 특별한 책들의 이력서
릭 게코스키 지음, 차익종 옮김 / 르네상스 / 200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고해 보이고 도도해 보이는 일명 '고전'이라 불리는 책들과 그 작가들의 뒷이야기를 유쾌하게 들려주는 책이다. 그리고 한마디로 '책도 돈이 된다'는 다소 낯선 개념을 심어준 책이기도 하다. 물론 유명하고 희귀한 책, 특히 초판본이나 사인본이라는 단서가 붙지만.

우리는 때로 눈에 보이는 것보다 눈에 보이지 않는 것들에 관심이 더 많다. 우리들의 궁금증을 자극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정사(正史)보다 야사(野史)에, 연예인들의 사생활에 더 매료될 때가 많다. 책 역시 우리에게 드러나는 것은 '책'이라는 결과물이다. 따라서 책 속에 담긴 우여곡절과 그 책의 운명, 작가들에 대해 궁금해 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지사. 이 책은 그러한 독자들의 심리를 아주 잘 파고들고 있다.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롤리타>는 원고를 높이 평가받지만 정작 위험하다는 핑계로 출판사를 찾지 못하다가 올랭피아라는 당시 성애물을 주로 출판하는 출판사에서 출간된다. 결국 이 책은 올랭피아의 유일한 걸작이 되고, 출판사뿐만 아니라 나보코프에게도 강사 자리를 그만두고 집필과 나비 수집에만 몰두할 수 있는 막대한 부를 선사한다. 물론 이 책을 쓴 게코스키가 <롤리타>로 재미를 본 것은 뻔한 일. 그러나 올랭피아 출판사를 운영하던 지로디아스라는 인물은 돈벼락에 주체 못하다가 5년 만에 파산하고 말았단다.

이 책에는 이런 식으로 자신이 거래했던 희귀 초판본과 그 책에 얽힌 '이력서'를 들려주고 있다. 지금은 전세계적으로 열풍을 일으키고 있는 <해리포터>가 출판사들의 문전박대로 열세 번째 출판사에서야 고작 초판을 500부 찍었다는 이야기(그래서 이 책의 초판본은 앞으로 무지 비싸고 희귀한 책이 될 거란다), 남편 사랑이 끔찍했던 아내의 실수로 리옹 역에서 그동안 썼던 원고들을 몽땅 잃어버린 헤밍웨이의 고단한 데뷔, 죽은 아들(존 케네디 툴)의 작품(바보들의 연합)을 살려낸 어머니의 노력 등 독자들에게는 신기하고도 유쾌하지만 작가들에게는 험난했던 이야기들은 왠지 그들에게서 인간적인 면모를 느끼게 한다(그러다보니 우리나라의 작가들과 그 작가들의 책에 얽힌 뒷이야기는 어떠할지 궁금해진다. 우리나라에도 게코스키와 같은 용감한 인물이 나와 한국판 '아주 특별한 책들의 이력서'를 들려주길 기대해본다).

희귀 초판본 시장의 존재나, 희귀본의 천문학적인 가치, 위대한 책과 작가들의 이력서 등을 들려주는 이 책을 덮으면서 나는 잠시 딴 생각을 해본다. 그건 정작 이 책의 맨 앞에 있는 서문에 실린 글귀 때문이다. "나는 유쾌한 세상에 살고 있는 셈이다." 그렇다. 안정적인 교수 생활(작가는 꽁생원 같은 생활이라고 한다)을 할 수 있는 기회를 과감히 떨치고 다소 무모하다고 할 수 있는 일을 시작해서 결국 성공한 그의 인생은 많은 것들을 생각하게 한다. 자신의 장점과 관심,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노력을 통해 인생의 즐거움과 부(富), 그리고 명예 모두를 이룬 게코스키의 삶을 엿볼 수 있는 이 책은 그 어떤 자기개발서보다 재미있고 훌륭한 메시지를 던져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