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불안과 함께 살아간다 - 희망과 회복력을 되찾기 위한 어느 불안증 환자의 지적 여정
스콧 스토셀 지음, 홍한별 옮김 / 반비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연휴였지만 쉬지를 못했다. 평소보다 더 피곤하다. 이유를 생각해 보니 할 일이 좀 많다. 능력치를 벗어나고 있다. 슬슬 도망치고 싶어진다. 스트레스는 아닌데 귀찮아지고 있다. 이 책이 눈에 띄었다. 혹시 나와 같은 사람들의 이야기인가 싶어 펼쳤다.

스트레스가 불안의 문화적 징후라는 말이 나온다. 스트레스는 불안만이 아니라 모든 정신적 질환의 요인이 되고 심지어는 신체적 질환까지 그 영향을 미친다. 내 불안의 원인은 경험이나 유전자의 요인보다 더 깊은 곳에 있을 수도 있다. 보스턴 대학의 불안과 장애 센터 소장인 데이비드 발로는 불안이 없다면 아무것도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라고 했는데 운동선수, 예술가, 기업인 학생들의 성취도가 낮아질 것이라고 했다(38). 프로이트는 두려움과 불안을 구분하는 대신 정상적 불안과 신경증적 불안으로 나누었다. 여기서 불안을 긴장으로 해석하면, 어느 정도의 불안은 도움이 되지만 일정 수치 이상의 불안은 독이 될 것이다. 정상과 이상을 구분할 때 정신건강이라는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미국 DSM을 따르는데, 이는 수백 종의 정신장애를 정의하고 유형에 따라 분류하고 환자가 해당 진단을 받으려면 얼마나 많은 증상이, 얼마나 자주, 많이, 심하게 나타나는지를 열거했다(64).

천재적 예술가들은 불안, 스트레스와 함께한다. 강박증을 예술작품에 담는 작가들도 있고 글에서 표현하는 사람들도 많다. 천재도 아니고 예술가도 아닌 평범한 사람의 불안은 어떻게 보아야 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