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파리대왕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9
윌리엄 골딩 지음, 유종호 옮김 / 민음사 / 2002년 3월
평점 :
설레는 마음으로 동대구역에 내렸다. 대구라서 그런지 날이 따뜻했다. 택시를 잡으러 밖으로 나오니 방향에 따라 동, 서, 남쪽 방향으로 가는 곳만 표시가 되어있었다. 나는 북구로 가야되는데. 가는 방향은 오른쪽인데, 나는 계속 왼쪽에 서서 기다리고 있었다. 여긴 영국이 아니라 한국인데. 낯선곳에 가면 갑자기 길치가 된다. 신난 마음은 사라지고 길 잃은 미아가 되었다. 그래도 소기의 목적은 달성했으므로 성공!
<파리대왕>은 무인도에 떨어진 아이들이 어떻게 의견을 조정해 나가고 결국 서로 죽이기까지 하게 되는지 보여준다. 문명과 야만이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어느 것이 더 가치 있고 우위에 있는 것인가. 인간의 내면에는 야만의 성향과 문명의 성향이 공존한다.
평등사회에서 폭력을 행사하거나 힘없는 사람을 죽이는 것은 도덕, 윤리적으로 옳지 않다고 교육받았다. 하지만 모든 상황이 변하고 야만적으로 살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된다면 가장 순수하다고 생각되는 어린아이들조차 내면의 폭력과 야만성이 드러난다. 인간의 잔혹성은 본성의 일부이다. 파리가 살아남기 위해 무언가의 피를 먹듯이 인간도 살아남기 위해 버둥거릴 때 무언가의 피를 봐야한다.
해변에서 랠프는 소라를 불어 아이들을 모으고 투표를 통해 대장이 된다. ‘산호섬’이라는 장소는 소설이 얼마나 허구인가를 보여주기 위한 상징이고, 소라를 발견해 섬에 표류된 아이들을 불러 모은 랠프는 대장으로 선출되고 합법적으로 우두머리가 되지만, 성가대 단장이던 잭은 투표로 뽑힌 랠프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는다. 표류 전 성가대 지휘했고 호전적 성격으로 섬에 표류된 후 그들을 완전히 장악하였지만 성가대 대원이 다수가 아닌 상황에서 선거로 뽑힌 랠프를 무시할 수는 없다. 대신 그는 독자적인 행동으로 랠프의 지도력을 흔든다. 표류된 이들에게 가장 필요한 일은 봉화를 피워 구조를 받는 것이다. 랠프는 봉화피우는 일에 역량을 집중하려고 한다. 잭은 자신이 잘하는 멧돼지 사냥을 우선하자고 한다. 아무리 잘 먹어도 구조되지 않으면 섬에 갇힌다. 잭도 봉화의 중요성을 알지만 그것을 인정하면 랠프의 지휘를 받아야 하고 자신이 잘하는 사냥을 해야 인정받는 일이라 생각하다. 랠프는 봉화를 잭은 사냥을 외치며 둘은 분열한다. 그 후 합리적으로 행동하는 피그는 죽임을 당하고 야만적은 상황에서 민주주의는 파괴당한다. 잭은 민주주의가 비능률적이라 하고 소수에 의해 다수의 다스림을 주장한다. 야만상태에서 인간의 합리성과 민주주의 원칙은 무너진다.
우리가 판단하는 “누구는 천성이 착하다”는 말은 사람에 대한 판단에 영향을 준다. 골딩은 인간 본성에 대한 탐구로 인간의 폭력성에 도달하는 모습을 통해 인간에 내재한 야만성을 폭로한 것이다. 소설의 중심에는 안간에 대한 이해가 들어있고 그 이해를 통해 민주주의도 결국엔 이성적인 사회에서만 가능하고 야만적 내면의 본성 앞에서는 무력해지는 인간은 사회적동물이지만 사회성이 결여될 때는 결국 동물의 본성을 가졌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