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유의 감옥 ㅣ 올 에이지 클래식
미하엘 엔데 지음, 이병서 옮김 / 보물창고 / 200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지금 내가 있는 이 곳이 아니라 어느 다른 시간, 다른 공간에서 또 다른 나의 현실이 존재하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 잠깐의 꿈에서나 가끔씩 떠오르는 알 수 없는 이미지들과 기억의 파편들은 지금 내가 존재하고 있는 현실 외에 또 다른 현실이 존재할지도 생각을 부추기곤 한다.
기억의 문 어딘가를 열면 끝없이 펼쳐진, 여기와는 다른 무수한 현실의 공간과 마주칠지도 모른다는 상상. 그런 위험하면서도 은밀한 상상 속으로 끝없이 파고들게 만드는 책. 또 다른 현실을 꿈꾸게 만드는 그런 공간에서 마치 꿈을 꾸는 듯한 기분으로 파고들어오는 책. 자유의 감옥을 읽으면서 나는 마치 내가 한번도 꾸지 못한 꿈의 어딘가를, 내가 한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공간의 어딘가를 걷고 있는 것처럼 황홀했고, 또 황홀했다. 그리고 현실과 가상현실에 관한 끔찍한 경험을 맛보게 해준 영화 매트릭스를 만났을 때처럼 조금 충격적이었던 것도 사실이다.
8편의 단편으로 구성된 이 소설집은 독일문학의 마지막 낭만주의자라고 불리는 작가, 미하일 엔데가 꿈꾸는 또 다른 현실에 관한 이야기들이다. 이 소설집은 현실에서는 존재하기 힘들법한 공간에 관한 이야기인 <보로메오 콜미의 통로>, <교외의 집>, <조금 작지만 괜찮아>같은 단편들과 끊임없이 또 다른 현실을 찾아가는 주인공을 다룬 <긴 여행의 목표>, <길잡이의 전설>, <여행가 막스 무토의 비망록>, 그리고 자유의지에 관한 철학적 성찰이 돋보이는 단편 <자유의 감옥>, 무엇이 진짜이고 무엇이 가짜인지 분간할 수 없는, 현실과 꿈이 뒤범벅되는 듯한 세계를 보여주는 <미스라임의 동굴> 이렇게 8편의 단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의 의식이 존재하는 현실과 다른 어느 시간과 공간 속에서 존재하고 있을지도 모를 또 다른 현실을 보여주기 위해 미하일 엔데는 그만의 환상적인 공간을 창조한다. 그가 만드는 환상은 끝에 도달할 수 없을 것 같은, 원근의 법칙이 무시되는 통로(보로메오 콜미의 통로)이기도 했다가 들어서는 순간 나오는 마치 한 장의 종이 같은, 그 자체로 공허를 상징하는 집(교외의 집)이기도 하고, 겨우 몇 사람이 들어갈 수 있을 것만 같은 조그만 자동차 안에 담겨 있는 커다란 집(조금 작지만 괜찮아)이기도 하다. 그리고 사람을 흡수해서 사람과 한 몸이 되는 건물(여행가 막스 무토의 비망록)이기도 하다.
그러한 공간에 대한 환상이 가장 인상적이었던 작품은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에게 바친다고 되어 있는 <보로메오 콜미의 통로>다. 이 단편은 원근 법칙이 무시되는, 끝이 없을 것 같은 마법과도 같은 공간에 관한 이야기이다. 통로 안으로 들어갈수록 걷고 있는 사람도 점점 작아지는, 그래서 걸음의 속도도 그에 비례하여 줄어들 수밖에 없는, 그리하여 그 끝에 도달하는 것이 가능한지조차 알 수 없는 미궁의 공간. 그 끝을 가늠하기 힘든 공간을 통해 미하일 엔데는 마치 끝없이 무한한 갈래로 이어지는 시간에 대해 이야기한 보르헤스와의 교차점을 찾은 듯이 보인다. 보르헤스의 시간과 미하일 엔데의 공간이 만나는 그 지점, 무한한 시간과 공간이 끝없이 갈라지고 만나는 그 순간, 바로 그 순간의 어느 지점에서 우리의 현실이 존재하고 있는지도 모를 일이다. 우리가 존재한다고 믿는 현실은 그렇게 시간과 공간의 무한한 갈라짐과 새로운 생성 속의 어느 한 지점에서 이루어지고 있을 것이다.
무한히 이어지며 나의 선택을 기다리는 시간과 공간들. 내가 그 시간과 공간을 선택함으로써 다른 시간과 공간은 버려지고 선택된 시간과 공간은 내가 예측하거나 혹은 예측하지 못했던 방향으로 나를 데려가며 끊임없는 확장 속에 나의 현실을 구성한다. 그 무수한 현실들 중 단 하나의 시간과 공간이 나의 선택 속에 이루어지고 그 하나의 선택이 내 미래의 시간과 공간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시간과 공간의 무한한 갈라짐 속 어딘가에 우리가 존재하는 현실이 있다면 그 시간과 공간이 조금만 변한다면 우리가 처한 현실도 달라지지 않을까. 시간과 공간의 좌표가 변경되는 바로 그 곳에 우리가 꿈꾸는 또 다른 현실이 존재하는 것이 아닐까. 그런 의문으로 끊임없는 방랑을 멈추지 않는 <긴 여행의 목표>의 시릴이나 <길잡이의 전설>의 인디카비아는 지금 마주하고 있는 현실에 정착하지 못하고 또 다른 현실만을 그리워하는 우리 자신의 모습을 의미하는 것처럼 느껴진다. 히어로니무스에서 인디카비아로 이어지는 수많은 이름들은 그가 꿈꾸었던 현실의 또 다른 이름일 것이다. 어쩌면 그들이 끊임없이 찾고자 한 현실은 자신이 선택하지 못한 것에 대한 끝없는 회한에 다름 아닐지도 모른다.
그러한 선택의 문제는 <자유의 감옥>이라는 단편에서 잘 나타난다. 111개의 문이 있는 곳. 그러나 그 문 뒤에 숨어 있는 것이 무엇인지 알지 못한 채 그 중 한 가지 문을 선택해야 하는 상황의 묘사를 통해 인간이 선택이라는 자유 앞에 얼마나 절망적으로 놓여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는 <자유의 감옥>은 이 소설집의 표제작이 될 만큼 가장 돋보이는 단편이다. 우리는 우리의 생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선택한다고 생각하지만 그 선택의 상황마저도 사실은 우리에게 주어진 것의 일부라는 사실. 우리는 시간이 완전한 무로 수렴될 때까지 끊임없는 선택을 계속해야 하며 그 선택의 책임은 전적으로 우리 자신에게 있다, 라는 엄연한 사실을 인식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결국 ‘자유의 감옥’은 무한한 선택의 상황에 절망적으로 놓인 우리의 삶에 다름 아니다. 우리 모두 자유라는 감옥에 갇힌 것이다.
자유라는 감옥에 놓인 우리의 삶은 오늘도 수많은 시간과 공간, 그렇게 무수한 선택의 가능성들 위에 놓여 있다. 그리고 그 무수한 선택의 한 지점에 우리의 현실이 존재한다. 그 수많은 가능성들로 인해 우리는 그 현실의 너머 존재할 것만 같은 또 다른 현실을 꿈꾸는 건지도 모른다. 미하일 엔데의 소설을 읽는 것은 현실의 너머 존재할 것 같은 또 다른 공간과 시간 속에서 우리의 삶이 자리 잡고 있는 그 헤아릴 수 없는, 무한한 경우의 수를 끊임없이 꿈꾸고 상상하고 느끼는 경험과도 같다.
그래서 우리의 불분명한 감각과 기억이 인지하지 못하는 공간에 관한 은밀한 체험과도 같은 이야기들을 따라 들어가다 보면, 우리가 판타지라고 부르는 그의 소설 속에서 마주치는 환상적인 공간들은 어쩌면 이제 더 이상 환상이 아니라 바로 우리가 느끼지 못하는 현실의 다른 이름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되는 것이다.
끝없이 이어지는 현실의 미로, 그 피할 수 없는 현실의 통로 속에 이제 또 다시 한 발을 내딛어야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