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외출
김형경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5년 8월
평점 :
품절
사랑으로 인한 상실감이 사랑으로 치유될 수 있을까. 사랑이라 믿었던 것들이 예리한 칼날로 다가와 생을 위협할 때, 그런 위기의 순간에도 사랑은 이루어질 수 있을까. 사랑은 한 사람의 생을 처참히 무너뜨리는 칼날을 가지고 있지만 또다시 그 상처를 아물게 하는 보드라운 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나는 소설 <외출>에서 다시금 확인한다.
<외출>은 상처입은 사랑이 치유되어가는 과정을 그린 소설이다. 김형경은 사랑의 무너짐과 사랑의 치유력을 그녀만의 섬세한 언어로 표현해내고 있다. 그녀는 사랑이 부서지고 상처입고 또다시 아물고 뜨거워지는 그 과정들 속으로 천천히, 천천히 우리를 불러들인다. 그 섬세하고 미세한 삶의 감각들, 그 뜨거움과 차가움의 감각들 속으로.
배우자의 사고소식을 듣고 달려온 두 사람 인수와 서영은 수술실 앞에서 처음으로 만난다. 세상에서 가장 불안하고 초조한 얼굴로. 그러나 그러한 불안과 걱정도 잠시. 그들의 소지품을 통해 인수와 서영은 각자의 배우자가 불륜의 관계였음을 확인하게 되면서 처음 사고소식을 접했을 때 들었던 걱정과 충격은 치명적인 좌절과 상실감으로 변해간다. 인수는 상실감을 이기지 못해 혼수상태에 빠져있는 그의 아내 수진에게 분노를 터뜨린다. “너, 차라리 죽어버리지 그랬니?”
그 치명적인 상실감은 서영도 마찬가지다. 무난하게 결혼 생활을 유지해왔다고 생각해온 서영에게 남편의 외도는 언젠가 경험해보았던 암흑같은 정전과도 같다. 암전. 그 막막한 어둠같은 느낌. 견고하게 지어진 콘크리트가 한순간 먼지로 변해버리는 듯한 느낌. 기대어 왔던 그 든든한 믿음이 일순간 와르르 무너지는 듯한 그런 느낌. 더 이상의 삶도, 믿음도 무의미할 것만 같은 그러한 어둠 속으로 그녀는 서서히 내려앉는다. 그녀는 더 이상의 생활도, 더 이상의 사랑도 없을 것 같은 그런 곳에서 영원히 깨어나지 않는 잠을 자고 싶다.
그들은 그렇게 서로가 가장 고통스럽고 상처입은 순간 만난다. 결코 용서할 수 없을 것 같은 남자, 혹은 여자의 배우자로서. 그들의 관계는 피할 수만 있다면 피하고 싶은 관계이지만 그들의 만남에는 피할 수 없는 사랑이 예정되어 있기에 더더욱 운명적인 만남이 될 수밖에 없다. 서로가 서로의 아픔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으니까. 누구보다 서로의 아픔을 더 잘 어루만져줄 수 있으니까.
그들은 그렇게 그저 주저앉고 무너져 내릴 것만 같은 시간을 서로에게 기대어 견뎌내게 된다. 쉽게 잠들 수도 없고 울음도 나오지 않았던 그 시간들 속에서 놓아버렸던 생활의 끈들을 다시 되찾기 시작한다. 같이 밥을 먹고, 같이 걷고, 같이 술을 마시면서. 그리고 그 위안과 위로는 같이 장을 보고, 같이 영화를 보고, 같이 잠드는 것으로 이어진다. 그것이 금기라는 것을 머릿속으로는 느끼면서도 마음의 타오르는 불같은 뜨거움을 어찌할 수가 없다. 문자메시지를 보내고 따뜻하게 안아주고 같이 사진을 찍으면서 그들의 남편과 아내가 했던 대로 똑같이 그들은 서로에게 빠져든다. 내가 미쳤나봐, 라고 서영은 생각하지만 인수의 따뜻한 손길을 뿌리칠 수가 없다. 사랑으로 인한 상실감은 사랑으로밖에 치유될 수 없음을 그들 몸은, 그리고 마음은 그들의 머리보다 더 잘 알고 있는 것이다. 사랑은 밑으로, 밑으로 가라앉던 그 수직의 무너짐 속에서 서로의 손을 잡고 상승하는 부드러운 곡선 같은 것이라는 것을 그들의 몸은 알고 있었던 것이다.
사랑으로 인한 상실감이 사랑으로 점차 치유되어가는 과정을 묘사하는 김형경의 내밀한 문장들은 섬세한 내면과 천천히 번져오는 또다른 사랑을 묘사하는 부분에서 특히 빛을 발하고 있다. 두 사람이 서로 사랑을 나누는 장면의 감각적인 묘사는 더더욱 그렇다. 그들은 노란 빛으로 서로를 애무하고, 점점 붉은 색의 열정으로 향해가고, 이윽고 보랏빛의 정점에 다다른다. 그리고 휴식같은 초록색을 지나 현실감을 상기시켜주는 흰 빛의 침대에 이르기까지 그들의 사랑은 무수한 빛들과 색깔들의 덩어리이고 또한 그것을 느끼는 그들의 감각이다.
김형경은 사랑의 언어는 바로 빛의 언어임을 말하고 있는 것 같다. 빛에 민감한 인수를 통해 서영이 새롭게 느끼는 미세한 빛의 가닥들처럼, 사랑도 그렇게 미세한 빛의 감각이라고, 서로의 지친 그림자를 거둬주는, 깊고 따뜻하고 미세한 감각들이라고 말이다. 어둠의 끝에서 맞이하는 환한 빛 한 줄기가 무너질 것 같은 삶을 지탱할 수 있게 해주는 것처럼 사랑도 바로 그러한 존재의 무너짐을 버티게 해주는 빛과도 같은 것임을, 소설은 말해준다. 그들의 사랑은 서로의 삶 끝자락을 붙잡는, 여리지만 따사로운 빛이다.
그 미세한 색깔과 빛 속에서 그들은 사랑을 나누고 서로를 바라본다. 그들이 서로를 쓰다듬고 그들 내면의 깊은 상처를 어루만지는 그 순간, 그들 삶은 무채색의 짙은 고통에서 벗어나 드디어 고유한 색깔을 되찾는다. 그렇게 사랑은 상처 입은 내면의 깊숙한 곳까지 스며들어 가장 내밀한 상처까지 어루만져주는 빛이 되어 짙은 고통의 어둠 속에서 그들 자신의 색깔을 다시 찾을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그리하여 그들은 그저 무너질 것만 같았던 삶을 버틸 수 있는 것이다. 그들 삶을 무너뜨린 사랑을 이제는 담담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이다. 그들 곁에 온 그 사랑으로써. 그것은 어쩌면 사랑이라기보다 인간이 인간에게 줄 수 있는 가장 편안한 위로이며 휴식이다. 서로가 서로의 고통을 이해하고 그것을 위로할 때 삶은 가장 아름다운 색깔로 사랑이라는 감정을 색칠하는 건지도 모른다.
또다시 봄이 오고 마치 모든 것이 꿈이었던 것 같은 그 시간들 위로 새하얀 눈이 조용히 내려앉는다. 그들 앞에 쌓이는 새하얀 눈은 이제 그들의 오래된 색깔들, 내면의 고통스런 어둠을 지우려는 듯 하얗게, 하얗게 쌓여간다. 흰 색은 이제 더 이상 현실의 참혹함을 있는 그대로 직시하게 만들어주는 색깔이 아니라 어둠위에 부드럽게 내려앉아 현실의 고통을 보듬어주는, 눈부신 고요를 안겨다주는 색깔이다. 그 참혹했던 고통의 순간을 견뎌낸 이들에게 선사해 주는 가장 부드러운 색깔의 위로이며 안식인 것이다.
차가운 칼날같은 시간을 견뎌낸 이들에게 가장 눈부신 고요를 안겨다주는 봄눈. 그 봄눈의 편안하고 눈부신 위안이 아팠던 상처의 시간들을 조용히 어루만지고 더욱 따뜻하고 찬란한 봄을 싹틔워 낼 것이다. 그래서 나는 서영이 공원에서 만난 350년 된 나무와 5천년 된 암각화, 그리고 5억 3천만년 된 동굴을 보며 느꼈을 그 아련한 감정들 속에서 우주, 그 무한의 시간 속에서 한 순간의 빛으로 사라질 우리의 생 가운데서 사랑은 가장 눈부시고 아름다운 빛을 뿜어내는 단 한 순간의 빛이라는 것을 감히 믿어보고 싶어지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