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대 뒷모습
정채봉 지음 / 샘터사 / 200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무조건 착하게만 살라고 하는 것에 대해서는 일종의 거부감을 가지고 있는 편이다. 그래서 착한 사람들 얘기만 나오는 '좋은 생각' 보다는 다양한 삶의 모습들이 나오는 '샘터'를 읽는다. (어쩌면 이것은 편견일 수도 있다.) 정채봉 선생님의 글은 어떠한가. 그 분이 쓰신 책들의 내용은 어떻게 보면 내가 거부감을 느낄 수 있는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나는 그 분의 글들을 사랑한다. 아마도 직접적으로 착해야 함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일 게다. 시인 정호승님의 말씀에도 잘 나와 있다.

'정채봉의 글을 읽고 있으면 결코 용서하고 싶지 않은 사람도 슬그머니 용서하게 되고, 끝끝내 용서받고 싶지 않는 마음도 슬그머니 용서받고 싶어진다. 그는 사람이 어떻게 해야 아름다워질 수 있다는 것을 이미 다 알고 있다.'

아직 선생님의 책들을 많이 읽은 것은 아니지만, 글을 읽다보면 법정 스님께서 말씀하신 '맑고 향기롭게' 라는 말이 떠오른다. 사람들이 자신이 가진 단점과 잘못을 인정하고 그것을 어떻게 바꾸고 고쳐서 타인과 함께 사는 삶을 살아야 하는가를 생각할 때 이 세상은 조금씩 맑고 향기로워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의 내용 가운데 정말 기록해 두고 싶은 문장들을 적어본다.

- 모름지기 살아간다는 것은 '소유'가 아니라 '이룸' 입니다. 진정한 이룸은 가득 채워져서 더 들어갈 수가 없는 상태가 아니라 비워 가며 닦는 맑음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 꽃뫼에서 : 풀꽃은 절대로, 큰 소리로 떠들지 않는다. 들릴락 말락하게 속삭일 뿐이다. 그것도 마음이 가난한 이들이나 알아들을 정도로, 풀밭에 누워 빈 마음으로 그 작은 얼굴을 바라보면 들려올 것이다. 마음의 어룽을 지워 주고 한없이 날아가고픈 동심을 심어 주는 풀꽃의 귀띔이.

- 그대 뒷모습 : 자연을 보고 있자면 시작도 물론 아름답다. 먼동이 터 오는 아침, 봄날의 여린 새싹들, 어린 새들의 재롱. 그러나 자연의 아름다운 뒷모습은 이에 비할 바가 아니다. 해질 무렵의 저녁노을, 저 불붙는 듯 화려한 낙엽들. 새들도 죽을 때 우는 울음이 가장 빼어나다 하지 않던가. 그 사람의 실체는 정작 본인이 떠난 다음에 그가 머문 자리에서 운명처럼 향기처럼 남는 것이다. 앞모습보다는 뒷모습이 아름다운 이들의 이웃이고 싶다.


- 나는 언젠가 고향의 바닷가에서 갈대밭 사이 뻘길을 기어 다니는 늙은 게 한 마리를 본 적이 있다. 어둠과 밀물이 저만큼 다가오고 있는데 집을 찾지 못하고 갈대밭 사이 뻘길을 방황하는 게. 우리 남매를 키울 때의 우리 할머니의 초조와 외로움이 그러했으리라.

- 밖에는 비가 오고 있었다. 비 오는 주말. 혼자 떠나는 길손. 낭만일 것 같지만 가슴 한편에 젖는 우수가 있다. 내 생의 절반 정도를 나는 서울에서 살았다. 그 혼탁과 다난과 어울려서 파도 앞의 모래알처럼 굴러다녔다. 늘 가면을 느꼈고 내가 살고자 한 삶이 아닌 타인의 삶을 사는 듯한 착각을 느껴 오던 터였다.

- 인간 세상으로 뻔질나게 드나드는 단골 악마 : '오늘 일을 내일로 미루게 하는 나태'와 '깨우침이 없는 어제처럼 오늘을 살게 하는 관습'과 '한 일보다도 나타냄이 약간 높은 선심' 그리고 '쥐꼬리만한 앎을 가지고 황소 머리만하게 드러내기 좋아하는 교만'과 '모든 예지를 눈멀게 하는 애욕'. 

- 유혹, 그 동사와 피동사 : 나는 바깥의 유혹보다는 내 안의 유혹이 더 무섭다고 생각하는 사람 중의 하나이다. 10대 때는 이것이 눈에 몰려 있는 듯 하였다. 20대에 들어서는 유혹이 귀로 쏠리는 듯 하였다. 그러던 것이 30대에 들어서는 혀에 곤혹을 느꼈다. 그러다 40대에 이른 지금에서야 나는 비로소 남이 나를 유혹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나를 유혹하고 있음을 깨달았다. 내 스스로가 그런 빌미를 기다리고 있는 것이다. 나태의 유혹을, 관습의 유혹을. 그리하여 핑계만 있으면 고통스러운 영혼의 의지를 떼어 버리고 몸이 편하자는 대로 살려고 하지 않는가.

- 마음의 문을 열고 : "아름다움이란 꽃이 어떤 모양으로 피었는가가 아니야. 진짜 아름다움은 보는 사람에게 좋은 뜻을 보여 주고 그 뜻이 상대의 마음 속에서 더 좋은 뜻이 되어 다시 돌아올 때 생기는 빛남이야."

- "하늘이 내린 복을 다 받지 마라."는 말이 있다. 새 세기를 맞는 과학인과 기술인들은 주가 먼저 내놓느냐는 경쟁에서 한 걸음씩 물러나 처음의 마음, 곧 인간을 위한, 인류의 미래를 위한 의의와 윤리를 다시 챙겨야 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머털이 2004-05-17 17: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길이가 긴 글은 일단 읽기 불편하다. 그래서 나도 긴 글쓰기를 피하려고 하는데 책 내용을 옮겨 적다 보니 길어져 버렸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