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 11. 15. 「10번째책」

난 외국소설을 읽으면서 한계를 느낄때가 종종있다. 상상력의 한계때문이다. 어디지명에 생소하고 긴 이름들 덕분에 이따금씩 책읽는것 자체가 피곤한것이다. 아마도(...);
별들의 들판은 그런면에서 꽝이었다. 독일이라니. 안그래도 싫어하는데;;공지영씨 소설이라 기대도 했었는데, 생각보단.. 책표지랑 저자만 보고 고른 내잘못도있었지만^^;
도서관 반납 직전에 급히 읽느라 허겁지겁- 하여튼 제대로 읽었다고 할수없다 OTL
독일, 난 고등학교때 제2외국어로 독일어를 들었다. 얼마나 투박스럽던지. '일어를 할껄' 하고 얼마나 후회햇는지 모른다. 그런 독일- (주로 동독/서독 이야기가 많이 나왔다) 을 배경으로 여러사람들의 각각의 사연을 단편으로 풀어낸다. 개중엔 이곳의 주인공이 저곳엔 엑스트라로 나오기도하면서.
전두환대통령때 독일노동자로 떠난사람들- 꼭 지금 우리나라에 들어온 동남아시아쪽노동자들을 생각나게했다. 그런사람들의 사랑,삶,애환..
난 지금 광주에 있어서 그런가, '귓가에 남는 음성'이라는 단편이 가장 맘에 남았다. 광주는 유난히 518행사를 강조해서 하고, 사람들 입에도 많이 오르내린다. 20살꼬박 대구에서 태어나 살아온 나에게는 생소하고 유난떠는것처럼 느껴졌다 <- 다 무식해서 이런거였다 ;;;
그런데 그때 이런일이 있었구나. 그랬었구나. 하면서 가슴이 미어지는거다. 근데 그 기자는 정말로 죽은걸까?얼마만큼의 사실이 이소설의 중심이었을까. 지금의 광주에서 버스에서 내 옆에 앉아있었던 아저씨도 그때 그 거리에서 있었을까?
공지영씨 소설은 봉순이언니 이후로 처음이였다. 좀더 유명작을 읽어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