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리와 함께한 화요일
미치 앨봄 지음, 공경희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02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루게릭 병'이라는 무서운 병을 내가 처음 안 때는 중학교 3학년 때였다. '시간의 역사' 따위 위대한 저서를 남긴 가장 위대한 현대 물리학자 가운데 한 명인 스티븐 호킹 박사에 관한 이야기를 읽었다. 거기에서 스티븐 호킹 박사가 '루게릭 병'에 걸린 뒤에도 계속 연구에 정진했다는 이야기를 읽고 어느 정도 감명받았던 기억이 난다. 얼마 뒤 '공부가 가장 쉬웠어요'를 읽었는데 거기에도 머리가 좋아지는 방법에 관한 이야기가 나오면서 스티븐 호킹 박사 이야기가 잠깐 나온다. 그는 대학 공책 한 권 분량 계산이 들어가는 방정식을 암산으로 거뜬히 푼다고 한다. 나도 나중에 그럴 수 있을 정도로 두뇌 훈련을 꾸준히 하겠다고 잠시나마 마음을 먹었지만, 실제로 훈련을 하지는 않았다.

 

사실 대학교에 들어온 뒤 병에 걸려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것이 거의 없는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를 읽으면서, 나는 그것을 극복하고 자기가 하던 일을 계속하거나 다른 일을 해내는 과정에 주목했다. 모자란 것이 하나도 없으면서도 그토록 시간을 헛되이 보내고 많은 것들을 놓치는 내 모습이 두려웠기 때문이다. 그대로 가다가는 정말 대학교에서 아무 것도 제대로 할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어쨌든 시간이 흐르면서 내가 지니고 있는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 나쁜 점을 어느 정도 극복하는데 성공했다. 그 성공을 바탕으로 더욱 많은 책을 읽고 더욱 많은 글을 쓰는데 힘을 쏟았다. 자기 안락과 절대 타협하지 않는 사람을 꿈꿨다. 죽음을 눈 앞에 두고서도 몸이 조금 회복되자 바로 연구를 계속하여 정의론을 국제 관계 차원으로 확대하여 적용한 '만민법'을 발간한 존 롤스 같은 학자를 본받으려고 힘썼다. 하지만 그것은 너무 어려운 일이었다.

 

사실 집에 갔다가 책꽂이에 있는 아무 책이나 뒤적거리다가 제목이 끌려서 읽었다. 이 책에 관해 원래 알고 있던 것은 하나도 없었기에 처음에는 학구열에 불타는 한 교수 이야기인줄 알았다. 나는 책표지에 있는 글자도 제대로 훑어보지 않고 바로 책을 읽기 시작했다. 몇 분 뒤, 착각은 완전히 깨졌다.

 

내 생각대로라면 이 책에 나오는 모리 교수는 반드시 생명을 앗아가는 무서운 병에 걸린 뒤에도 끝까지 학구열을 불태우다 결국 큰 성과를 하나 남기고 죽는 인물이다. 그러나 실제로 그는 루게릭 병에 걸린 뒤 연구를 그만둔다. 공부를 완전히 그만두고 그는 삶을 더욱 많이 즐기기 시작한다. 세상이 얼마나 아름다운지 관찰하고 사소한 것들이 얼마나 큰 뜻을 지니고 있는지 깨닫는다. 몸에서 뜻대로 움직이지 않는 부분이 더욱 많아지고 죽음이 가까워질수록, 모리는 세상이 보여주는 아름다움을 더욱 많이 느낀다.

 

모리에게 가르침을 받으며 공부했던 한 제자가 그런 그를 지켜본다. 열심히 일하면서 돈은 분명히 많이 벌었고 나름대로 성공했지만, 뭔가 빠진 것 같은 허전한 느낌에 시달린다. 그는 바쁜 삶 속에서 까맣게 잊고 있었던 은사인 모리 교수를 다시 만나면서 그것이 무엇인지 깨닫는다. 현대 과학으로 설명할 수 없지만 모든 사람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진리인 그것. 더는 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이 책을 읽고 나서 안타까운 것은 단 한 가지뿐이다. 감정을 제거해야겠다는 생각을 할 정도로 나는 컴퓨터가 보여주는 효율에 주목한 사람이었다. 다른 사람들이 보기에는 미친 짓을 내가 기꺼이 하려고 한 까닭은 지나친 나머지 나를 망친 자애와 합리론이였다. 나는 모리가 말하는 것을 제대로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고, 책을 읽을 때도 그다지 큰 감명이 없었다. 독후감을 쓰는 것이 아무런 뜻이 없다고 생각할 정도였다. 단지 나에게 이런 문제가 있다는 것만 인식하고 그것을 고치려고 힘쓸 동기를 줬다는 사실로 만족하는 수밖에 없는 것이 안타까울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