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술사
파울로 코엘료 지음, 최정수 옮김 / 문학동네 / 200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11분'을 읽은 뒤에도 그 소설이 왜 그렇게 많이 팔리는지 완벽하게 이해하지는 못했다. 내 감정이 그만큼 메말랐다는 증거라고 볼 수도 있다. 그래서 나는 영혼을 근본에서부터 움직일 수 있는 책을 쓰는 작가라는 평을 받는 파울로 코엘료가 쓴 책을 모두 읽어보기로 마음먹었다. 그래서 파울로 코엘료 3부작을 찜해놓고 있었는데, 며칠 뒤 과방에 갔더니 '연금술사'가 있었다. 주저하지 않고 책을 펼쳤다. 몇 시간만에 읽어버린 뒤 간단하게 결론을 내렸다. 그다지 새롭지 않으며 왜 이 작품이 그렇게 많이 팔리는지 알 수 없었다. 편안하고 쉽게 읽을 수 있고 마음에 은은한 파도를 일으키기는 하지만, 사람들이 그렇게 빠져들만한 소설은 아닌 것 같다. 그래도 생각해 볼 점은 있다.

이 책을 읽은 뒤 지금까지 연금술이 지니고 있던 영혼과 관련된 측면을 왜 내가 파악하지 못했는지 궁금했다. 이미 히라노 게이치로가 쓴 '일식'을 읽으면서 연금술, 종교, 신비주의 따위가 얽힌 관계와 그 관계에서 벗어난 것들이 뜻하는 바를 어느 정도 알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그 생각은 '연금술사'를 읽으면서 완전히 깨졌다. 여기에서 말하는 '연금술'은 단순히 가치 없는 금속을 굉장히 가치 있는 금속인 금으로 바꾸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그 대상도 금속이 아니다. 연금술로서 자기 꿈으로 나아가는 자기를 정련하는 것이다. 그리고 세상은 자기를 정련하는 사람에게 꿈으로 가는 길과 그 길을 안내하는 표지를 보여준다. 표지를 보고 길을 따라가면 꿈은 어느 새 현실이 된다. 소설 속에서 산티아고는 피라미드에 묻혀 있는 보물을 찾고, 사랑하는 파티마에게 돌아갈 수 있다. 사실 이는 너무 뻔한 이야기라서 내 마음을 거의 흔들어 놓지 못했다.

다른 이야기를 해 보자. 연금술(alchemy)은 무엇인가? 화학을 공부하다 보면 연금술이 얼마나 허황한 믿음에 매달렸는지 저절로 알 수 있다. 하지만 중요한 사실이 있다. 연금술을 뜻하는 영어 단어인 'alchemy'와 화학을 뜻하는 영어 단어인 'chemistry'를 보라. 연금술에서 화학이 나왔다고 쉽게 추측할 수 있지 않은가? 분명히 화학은 연금술에서 나왔다. 소설에서 나오는 것과 다르게 연금술사들은 결국 원하는 금을 얻어내지 못했다. 하지만 연금술 덕분에 사람들은 물질과 화학 반응에 관한 엄청나게 많은 지식을 얻었다. 그리고 그것을 토대로 근대 화학이 나타나고 발전할 수 있었다.

하지만 연금술이 지닌 신비주의, 종교, 영혼 따위와 관련된 것들은 현대 화학에서 완전히 없어져 버렸다. 파울리 배타 원리, 양자역학 원자 모형, 아보가드로 법칙 따위가 앞에서 말한 것들이 설명하던 것을 대신해 물질과 현상을 훌륭하게 설명한다. 이는 화학뿐만 아니라 과학 전반에 걸쳐 일어나는 현상이다. 창조론을 진화론이 몰아낸 것처럼 말이다. 과학은 무엇보다도 객관이 중요하기에, 신비주의와 미신이 주는 영향에서 벗어나면서 성장해 왔다. 이는 분명히 바람직한 일이다.

하지만 여전히 과학은 너무 많은 것을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내가 여전히 과학철학을 잘 몰라서 이런 생각을 하는지도 모른다. 지금처럼 신비주의, 종교, 영혼 따위가 주는 영향을 과학에서 더욱 줄여버린다면 언젠가는 한계에 부딪칠 것 같다. 그런 것들이 과학과 결합하면 어떤 독특한 것이 생길 수 있으며, 과학이 발전하는데 도움을 줄 수도 있을 것이다. 뉴턴이 신학을 깊이 공부한 뒤에 만유 인력에 관한 이론을 정립할 수 있었던 것처럼 말이다. 그런 생각을 오래 전부터 하고 있었던 나는 뭔가 아쉽다는 느낌을 떨칠 수 없었다. 더욱 넓고 깊은 의견을 만들려면 그저 더욱 열심히 공부하는 수밖에 없다. 이 책은 열심히 이 세계를 탐구하도록 나를 은근히 자극했다.

그렇게 자극받아서 내가 열심히 공부하면 나는 자아를 정련하여 꿈을 현실로 만드는, 책 제목대로 '연금술사'가 되는 것이다. 아마 파울로 코엘료는 모든 사람들이 '연금술사'가 되기를 원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