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들에게 희망을 (반양장)
트리나 포올러스 지음 / 시공주니어 / 199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애벌레들의 이야기인 줄 알고도 읽었던가?

만약 서점에서 이 책을 잠시라도 훑어 볼 기회가 있었다면

살며시 내려놓았을텐데.

이야기는 두번째 문제다.

삽화가 징그럽도다. 애벌레들, 한두마리도 아닌 왕창왕창 많은 애벌레들.

다시 읽을 엄두를 못내게 하는 애벌레 뭉텅이들....

애벌레는 높이높이 기어올라간다.

다른 애벌레를 걷어차면서까지

보다 높이 보다 먼저 올라가기 위해 그리고 주류에서 낙오되지 않기 위해

이유도 알지 못한 채 그 곳에 무엇이 있는지도 모른 채 높이높이 기어오른다.

호랑애벌레의 친구 노랑애벌레.

노랑애벌레는 기어오르기를 그만두고 자기자신이 됨으로써 날아오른다.

그 후에 알았다.

작가는 아름다움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애벌레 덩어리들을 그렇게 흉하게 그린게다!!

자신을 믿고 용기를 내고 인내심을 발휘한 노랑이.

그리고 그 힘을 호랑애벌레에게도 나누어주는 희망의 상징 노랑이.

애벌레의 입을 빌어 작가는 말한다.

우리 모두에게는 나비가 될 재료가 내재되어 있다고.

우리 모두는 나비가 될 수 있다고.

어디로 가는지도 모르는 채 휩쓸려가지만 않는다면.

그리고 혼자서만 잘 살면 재미없어. 다 같이 잘 살자!

 

참 징그럽고 싱거운 책이구나,

건조하게 내려놓았지만 마음 한구석이 뭉클했음.

우리 모두는 나비예요.

표지의 커다란 노랑이가 날개를 펴고 말하고 있는 것 같아.

스스로도 모르고 있겠지만

우리 모두는 날개를 펼칠 힘을 이미 갖고 있다고.

날고 싶었던 적도 나비가 되고 싶었던 적도 한번도 없었지만

책을 읽고 왠지 희망에 차서 날고 싶었다.

 

 

 

 

 

 

노랑 나비의 더듬이가 가늘게 떨렸습니다.

호랑 애벌레는 노랑 나비가 말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하지만 무슨 말을 하는지 알아들을 수가 없었습니다.

그러다가 조금씩 이해할 것 같았습니다....

 

 

ㅡ 꽃들에게 희망을 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