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뻬 씨의 행복 여행
프랑수아 를로르 지음, 오유란 옮김, 베아트리체 리 그림 / 오래된미래 / 200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술술 읽히는 책. 그래서 앉은 자리에서 뚝딱 읽어버릴 수도 있는 책이지만

띄엄띄엄 읽다보니 어디까지 읽었는지 그 전 내용이 어땠는지 기억이 가물가물.

그만큼 스토리가 인상적이진 않았음.

행복에 관해 알기위해 여행을 떠나는 정신과 의사 꾸뻬씨.

그는 여러 곳을 여행하고 여러 사람을 만나면서 그 속에서 행복의 법칙을 하나하나 정리한다.

그 과정을 다소 비판적이고 냉담한 태도로 읽어갔음.

진정 행복이 정의내릴 수 있는 것이냐고,

방대한 자료상의 수치나 뇌에 대한 연구로 접근할 수 있는 영역인 거냐고.

난 꾸뻬씨가 마음에 들지 않았다.

행복찾으러 갔다가 앙리와 클라라 사이의

애매한 인간이 되었을때부터.

이 인간이 지금 뭐하고 있는거야. 라는 기분.

그 자신만의 러브스토리가 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주제의

어느 곳에 위치하고 있는지 알 수 없어서 더 생뚱맞았음.

그의 외도는 행복찾기의 과정으로 얼버무려지는 게냐.

꾸뻬씨는 전혀x100 매력적이지 않은 캐릭터(?)였음.

 

 

끝에 가서야 책에 대한 호감도가 평범 수준으로 올라감.

노승의 말씀.

노승을 만나고 난 후 깨달은 꾸뻬씨의 행복에 대한 시선.

이것을 말하기 위해 작가는 스물몇개나 되는 행복을 수집했었구나.

그래, 이 정도의 결론엔 도달해줘야지 꾸뻬씨 으헝헝

그가 수첩만 들고 다니다 끝나는 줄 알고 배배 꼬여있었다.

그런 내 이마에 딱콩을 때리는 노승의 말씀.

 

 

<진정한 행복은 먼 훗날 달성해야 할 목표가 아니라,

  지금 이 순간 존재하는 것입니다.

  인간의 마음은 행복을 찾아 늘 과거나 미래로 달려 가지요.

  그렇기 때문에 현재의 자신을 불행하게 여기는 것이지요.

  행복은 미래의 목표가 아니라,

  오히려 현재의 선택이라고 할 수 있지요.>

 

 

노승 덕분에 이 책에 대한 비판적인 태도를 거두어들일 수 있었다.

그래! 배배 꼬여있지 말고 지금 행복해야지!

하지만 꾸뻬씨는 여전히 무매력.

꾸뻬씨 시리즈가 여러권 있던데 여기서 끝내야 할까봐....

"행복"보다 "꾸뻬씨"를 더 많이 언급한 감상문을 쓰고 있는데

어서 글을 끝내고 책의 여운을 즐겨야겠다.

행복에 관한 많은 생각들,

하게끔 만들지 않나 싶은 책.

 

 

 

 

 

이때 스튜어디스가 그 여성의 여권을 보여 주었다.

꾸뻬는 1년도 되기 전에 찍은 사진 속에서, 지금 그를 바라보는

눈과 같은 눈을 가진 한 아름다운 젊은 여성을 보았다.

병이 그녀에게서 아름다움을 빼앗아 갔음을 알 수 있었다.

그는 배움14를 떠올렸다.

'행복은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사랑받는 것이다.'

그는 그녀에게 따뜻한 미소를 지어 보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