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자의 건강법 - 개정판
아멜리 노통브 지음, 김민정 옮김 / 문학세계사 / 2008년 12월
평점 :
절판


 

 

 

 

읽어야지, 읽고싶다 하면서도 늘 다른 작품 뒤로 미뤄뒀던 책.

2011년 11월&12월 목록 중 하나였다.

내가 작가의 다른 책들을 이미 읽고 난 탓에 패턴에 길들여졌기때문인지,

그렇지 않다면 그토록 소란스러움을 싫어하는 것인지.

지나치게 말이 많다.

작가가 말하고 기자가 말하고 기자가 말하고 작가가 말하고.

 

 

아- 익살을 좋아한다며 주구장창 대화로만 책을 뒤덮었던 <시간의 옷>이 생각났다.

그와 같이 읽는 내내 피곤하도다.

장황하고 끊임없는 인용들, 이리저리 둘러치는 대가의 이름들.

아멜리 노통은 늘 그렇다.

인용하고 언급하고 온갖 인물을 이끌어내어 비유하고.

처음엔 그런 방식이 좋았지만 포의 소설을 읽은 후엔 그것으로 모자라다.

오로지 이야기 하나만으로도 감탄을 이끌어내는 재주야말로 진정 내 취향이었다.

그에 비하면 이 책은 많은 군더더기를 걸쳤다.

 

 

소설 속 작가는 비꼬고 평범함에서 벗어나는 대답을 늘어놓으며 상대를 당황시키기를 즐긴다.

여기자가 등장하기 전까진 늙고 괴팍한 작가의 짓궂은 태도와

종잡을 수 없는 성격을 보여주며 이야기는 진행된다.

특별한 분위기를 풍기며 등장한 여기자는 '내가 본론이다'라고 말하는 듯

작가와의 기싸움에 지지않고 이야기를 핵심까지 진행시키고 있는데

작가가 그 전 왜 그리 예측 못 할 부분에서 흥분했는지,

메타포를 왜 그리 질색팔색하며 싫어한 것인지,

사람들이 물한방울 안튀기고 책의 강을 건너는데 개구리 독자들이라며 길고 긴 비판을 늘어놓은 일

등등

과하게, 민감하게, 느닷없이 흥분하던 작가의 태도를 여기자가 나타나서야

어렴풋이나마 이해할 수 있게 했다.

 

 

[ 그보다는 선생님의 책들이 허세덩어리라는 뜻입니다.

  그리고 그 점이 그 책들의 매력이기도 하지요.

  선생님의 책을 읽으면서 제가 느낀 건, 의미로 가득한 알찬 단락과

  완전무결한 허풍뿐인 텅 빈 문단이 계속해서 반복되고 있다는 겁니다.

  왜 완전무결한 허풍인고 하니, 그 허풍에 저자도 속고 독자도 속기 때문이지요.

  찬란하게 무의미하고 엄숙하게 비상식적인 객담들을 심오하고 긴요한 담론들인 양

  꾸며대면서 얼마나 희열을 느끼셨을지 짐작이 갑니다. ]

 

 

책을 읽는 동안 느꼈던 아멜리 노통에 대한 내 시선을

여기자가 잘 대변해주고 있었다.

 

이 소설이 어떤 이야기였는가는 흥미거리가 아니다.

전혀 흥미롭지 않았기 때문에.

이 소설이 어떻게,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었는 가에 대한 감상만 늘어놓은 이유다.

그녀의 가장 유명한 책이건만 어쩐지 가장 피곤했음.

 

 

 

 

 

예나 지금이나 '아무개'를 읽은 척하는 자들이 활개를 치지.

달라진 게 있다면, 요즘은 당신 같은 사람이 특별히 잘난 체 할 수가 없다는 거요.

작가 소개서란 게 있으니까.

일자무식쟁이라도 그것만 읽으면 제법 교양있는 티를 내며 대문호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거든.

당신은 바로 그 점에 있어서 헛다리를 짚었소.

…… '물만 부으면 바로 먹을 수 있는 밀크 쉐이크가 됩니다'

이보다 진부한 일이 어디있겠소?

 

 

ㅡ 아멜리 노통 <살인자의 건강법>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