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리 본능 재미있게 읽었다. 요리사인 에드워드 권이 추천했던 이유도 알겠다. 요리사는 자긍심이 생기겠네. 요리와 진화. 나름 설득력도 있고 굳이 연관을 안시켜도 화식의 영향과 진화 과정이 각각 흥미롭다.
◇ 촘스키 지의향연 세계의 경찰국가를 위상으로 삼는 미국이 민간 권력의 이익에 부합하는 정치ᆞ경제적 폭력을 비판하는 촘스키의 평론. 스키너의 <언어행동>을 비판하는 촘스키의 언어사상의 내재적 특성은 자유주의적이며 생래적 자질을 기본적 속성으로 언어의 생성 과정을 밝히려 했다. 그의 사상적 분석 역시 이런 기조를 적용한다. 즉, 인간이란 근본적으로 창조적이고 탐구적이며 자기 완성을 지향하는 존재라고 정의한다.
◇ 백래시 페미니즘에 대한 책을 보면 생각이 많아진다. 그 까이꺼~~ 여성이 원하는 권리라는거(?) 주고 말지! 이런 생각. 준다는 표현이 의미하는 것은, 나는 불공평한 이득을 당연시 했고 그 혜택을 권리로 누렸다. 섹스, 젠더에 대한 많은 글들은 성에 대한 철학적 논의였고 이론적 정립을 도왔다면 이 책은 7~80년대의 기록였지만 현실을 보는 것이다. 아직도 마음 속에 정의라는 것을 내리기 어렵지만 힘의 논리로 성을 이해하지 않겠다고 다짐해 본다.
◇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 폭력의 역사를 각종 자료를 꺼내서 보여준다.너무 많아 그런가 보다 한다.차치하고, 선하지 않은 본성에 맞서는 이성을 개인의 의지로 지켜 나가는 것을 이 책이 주는 의미라고 생각해본다.거시적이 아닌 개인도 늘 여러 이유로 폭력적인 충동에 기울어 간다.저자의 글에서 나의 생활을 계도해 본다면 나의 본성도 추스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