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사회구성원들은 정보의 홍수 시대를 살고 있다. 사회구성원들은 모든 사안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하고 또 알고 있다고 믿는다. 여기에 함정이 있다. 잘 알지도 못하면서 알고 있다는 믿음을 갖기 때문이다.

 

  무지에는 두 가지가 있다. 자신의 무지에 대해 모르는 무지가 있고, 자신의 무지에 대해 알고 있는 무지가 있다. 후자의 경우는 자신의 무지에 대해서 알고 있다는 점에서 무지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있지만, 전자는 그 가능성조차 없다. 정보의 홍수가 가져올 수 있는 위험이 바로 여기에 있다. 가령 정보가 넘쳐나지 않던 20세기 전반까지만 해도, 책을 읽지 않은 사람들은 스스로 “무식하다”고 인정했다. 나의 유년시절인 50년대나 60년대에 아저씨뻘이나 할아버지뻘 되는 분들이 “나는 무식해서 잘 몰라”라고 말하는 경우를 비교적 자주 만날 수 있었다. 그러나 오늘날엔 아무도 스스로 무식하다고 말하지 않는다. 책을 읽지도 않으면서 말이다. 독서의 중요성은 정보의 홍수 시대에 더 중요성을 갖는다. 정보를 생산하고 유포하는 주체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통해 ‘존재를 배반하는 의식’을 벗어나기 위해서도 독서는 필수 불가결한 과정이다. 

 

  독서는 ‘세계를 향한 창을 여는 것’이다. 창은 열려졌을 때 그 참된 의미를 지닌다. 닫혀있는 창은 단지 가능성으로만 남을 뿐이다.   

 

  열려진 창을 통해 우리는 세상과 만난다. 그곳에 나와 다른 것, 내가 알지 못한 것과 내가 미처 느끼고 있지 못한 것이 있다. 오직 책을 통해서만 타임머신을 탈 수 있어서 우리가 갈 수 없는 과거의 세계와 미래의 세계를 찾아갈 수 있고 오랜 동안 인류가 남긴 지혜의 보고와 만날 수 있다. 공간적으로도 일상 세계를 뛰어넘어 지상의 모든 세계를 찾아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현미경으로도 들여다 볼 수 없는 인간의 내밀한 내면세계를 들여다볼 수 있다. 인간의 삶을 구성하는 다양한 것들에 대해 알게 되고 그것들이 어떻게 관계를 맺고 있는가를 알 수 있다.

 

  인간은 동물적 본능만으로 살지 않는다. 이성과 감성의 복잡한 구조를 가진 인간은 서로 관계를 맺으며 사회적 동물로서 살아간다. 사회적 동물로서 올바른 자아실현을 하려면 당연히 올바른 판단과 선택을 필요로 한다. 독서가 중요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가령 다양한 것과의 만남은 개인이나 집단이 빠지기 쉬운 폐쇄적이고 독단적인 생각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한다. 편견과 차별, 부조리와 불합리는 대개 무지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물론 무지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독서만이 유일한 방법은 아니지만, 폭 넓고 깊이 있는 깨달음을 위해 독서가 가장 효과적인 방법임엔 틀림이 없다. ‘책 속에 진리가 있다‘는 말이 공연히 생긴 게 아니다.

 

  다양한 간접 경험이나 지식의 습득이 곧 올바른 사람이 되는 것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진리를 알고 있는 사람이 모두 진리의 길을 가지 않는다는 사실이  진리의 의미를 부정하는 이유가 되지 못한다. 그것은 개인의 선택에 달려 있다. 그리고 그 선택 또한 앎을 통한 깨우침에 의해서 결정된다. 독서는 그러한 앎과 깨우침을 위한 필수 조건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