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장은 실천적인 성격의 챕터였다.

어떻게 하면 정치적 갈등이 심화된 상황에서 하나님의 뜻을 지킬 수 있을까? 911 등을 거론하며 저자는 화평의 길을 제시한다.
그렇지만 ‘종교 간 협력’이라는 부분은 좀 애매하게 느껴졌다. 종교간 협력이 믿음의 타협은 아니라고 말하는데, 그러면 그걸 진정한 협력이라고 볼 수 있을까? 서로 다른 신에게 기도하면서 서로의 마음을 나누고 봉사를 하는 것이 겉보기에만 좋은 빛 좋은 개살구 같은 거 아닐까? 좀 더 생각해볼 부분인 듯하다.

그리고 8장에서 진보주의와 보수주의의 좋은 부분을 결합하는 것이 정치에 있어 큰 도움이 된다는 이야기가 좀 새롭고 좋았다. 개인의 선택과 제도적 틀은 사실 둘 다 중요한 게 맞으니까. 상대방을 비난하고 비판하는 데만 급급한 우리나라 정치상황에 주는 교훈이 있는 듯하다.

파면과 관련해서도 생각해볼 부분이 있는 것 같다. 인용 전문에서도 협치하지 않고 서로 갈라서기만 하는 점을 비판한다. 이 기회에 그냥 파면 선고에 대한 생각을 간단하게 정리해보는 게 좋겠다.

사실 윤석열 대통령 파면 선고를 들으면서 마냥 기쁘지만은 않았다. 기쁨만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여러 감정이 교차했다.

무엇보다 이 일은 우리 사회가 얼마나 병들어 있는지를 다시금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반복된 탄핵은 단순히 정치적 사건이 아니라 구조적 문제의 표면화처럼 느껴졌다. 여야는 협치를 위한 노력이 아니라 서로를 적으로 규정하며 끊임없이 깎아내리기에 바쁘다. 정작 시민의 삶을 나아지게 할 좋은 방안은 뒷전이 되어버린 느낌이다.

이번 판결을 두고 ‘시민의 승리’라며 자축하는 분위기도 약간은 불편하게 다가왔다. 물론 그런 표현이 필요할 수 있지만 이것이 단지 승리의 환호로 끝나버린다면 그 태도는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이미 한 차례 탄핵을 겪은 우리가 같은 문제를 되풀이했다는 점에서 찬반을 떠나 모두의 성찰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러나 또다시 같은 방식으로 흘러갈까봐 걱정이 된다.

정말로 기뻐해야 할 건 적에 대한 승리가 아니라 이 나라가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 아닐까. 반성 없는 환호가 아닌 함께 돌아보고 변화하려는 움직임이 필요한 것 같다. 물론 기쁘기는 했다. 마음이 한결 가벼워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