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와 아이들과의 여러 일화를 읽다보면 자연스럽게 생각이 넓어지는 듯하다. 어린이를 대하는 꿀팁들도 알게 된다.
“어디까지 떠올려봤어? 이상하게라도 말해봐. 그럼 선생님이 말이 되게 도와줄게.“ 꿀팁 습득 완.

"녹색 어머니 하시는 분들이 힘드실 것 같다. 그런데도아침에 인사를 해주시면 기분이 좋다." "나는 오늘 꿈이 하나 더 생겼다. 녹색 어머니를 하는것이다. 가만히 보니까 남자도 할 수 있는 것 같았다. 그때가되면 나도 아이들한테 인사를 잘 해줘야겠다." 로운이가 본 녹색 어머니들도 나의 지인처럼 반갑게 아이들을 맞이해주었나 보다. 어른들의 격려가 좋은 기분으로 하루를 시작하게 만들었나 보다. 어른들이 어린이를 보듯이, 어린이도 어른을 본다. 이웃과 이웃으로서. - P64
어린이들이 듣기 싫어하는 말 중에 내가 제일 많이 웃었던 것은 이것이다. "잘 생각해봐." 수학 문제를 틀렸는데 왜 틀렸는지 몰라서 물어봤을 때, 책 읽다가 어려운 낱말이 나와서 물어봤을 때, 이유를 모르고 혼날 때, 어른들이 "잘 생각해봐"라고 하면 속상하고솔직히 ‘어이가 없다‘고 했다. 어린이들이 글감이 안 떠오른다거나, 이다음에 뭐라고 써야 할지 모르겠다거나 할 때가끔 쓰던 말이어서 나는 깜짝 놀랐다. 나로서는 ‘스스로 생각할 기회를 주려고 말한 건데 당시에 누군가는 싫어했겠구나. 어린이 입장에서는 그럴 수도 있을 것 같다. 몰라서 틀렸는데, 생각해봐도 모르겠는데, 자꾸 잘 생각해보라고 하니분통이 터질 만도 하다. 생각은 어차피 ‘스스로‘ 하는 것이기도 하고. 그 말을 들은 후로 나는 질문을 바꾸었다. "만약에 아무렇게나 쓴다면 뭐라고 쓸 거야?" "어디까지 떠올려봤어? 이상하게라도 말해봐. 그럼 선생님이 말이 되게 도와줄게." - P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