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읽었다.
1. 혼란스러웠던 생각들이 가지치기 되는 느낌이랄까. 내가 이게 차별이 맞나 내 생각이 맞는 걸까 애매한 부분에서 차별이 맞다, 여성혐오가 맞다, 경중의 차이와 상관없이 혐오는 혐오다 라고 명확히 말해주니까 오히려 맘이 편해지고 열리는 느낌이었다.
“문제 해결을 위해 중요한 것은 젠더를 적시하는 일입니다. 여성이 여성이라서 겪는 피해를 묶어 부르는 이름에서 ‘여성’을 뺀다면 아무것도 논할 수 없습니다. 마찬가지 이유로, 문제의 원인이 여성혐오임을 명확히 해야 합니다.”
2. 6장에서는 효과가 썩 좋지 않았던 답변들이 적혀 있는데, 내가 종종 썼던 표현들이라 흠칫 했다.(“둘 다 나쁘긴 하지”, “네가 잘못했다는 건 아니고” 등등) 읽으면서 그 말들을 머릿속에서 지워나갔다. 그리고 나서 오늘 젠더 주제를 갖고 얘기를 해봤는데 좀더 명확한 느낌, 적어도 구렁텅이에 빠지지는 않는 느낌이어서 좋았다.
3. 7장부터는 “실전편“이다.
실제로 쓸 수 있는 표현을 적어두고 그 표현이 목표하는 바를 적어둬서 되게 실용적으로 쓰기 좋은 챕터라고 생각했다. 특히 10장은 연습하는 장이어서 참 독특했다. 몇 번 읽어보면서 입에 붙게 해도 나쁘지 않을듯. 사실 조금은 내 기준 과격한 표현들이 있어서 나름대로 말투를 잘 다듬어서 연습해보려 한다.
책을 읽으면서 젠더 이슈에 대한 내 생각을 명확히 할 수 있었고, 또 페미니즘 공부의 필요성을 알게 되었다.
말이 통하지 않고 이해하려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이해를 시키는 게 나의 의무가 아니라는 걸 깨닫고 맘이 편해졌다. 한편으로는 그럼에도 이야기는 시도해보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젠더 이슈 자체를 아직 잘 모르고 생각이 아직 말랑말랑한 아이들에게 설명하는 법을 배워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앞으로 더 공부를 해보려한다. 파이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