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장 -1.
요양원
장애인
개인의 부족함으로 돌리지 말고 환경을 바꾸려 노력하자

사회적으로 구성된 환경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할 때, 우리는 그것을 본인 잘못으로 여기곤 한다. 문제를 환경 탓으로 돌리거나 욕구가 충족되도록 구성을 바꾸려는 시도는 좀체 하지 않는다. 부엌 꼭대기 선반의 접시에 손을 뻗다가 사고로 떨어뜨리면 자기 부주의로접시를 깨뜨렸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이때 접시에 손을 뻗으면서 딴생각을 한 탓이라고 여긴다면 기분이 좀 나아질 것이다. 그 선반이나보다 키 큰 사람을 위해 만들어진 탓임을 인식한다면 더욱 나아질 것이고 말이다. 이런 깨달음과 함께 ‘나‘의 필요에 더 잘 맞도록 선반을 다시 설계하기로 결정할 수도 있다. - P152
‘유니폼‘을 없애자 나는 과거에 얻은 특정 지위가 아닌 현재에 놓인 한 사람으로 존재하게 되었다. 이는 아주 신나는 일이었고, 나는 끔찍하게만 여겨지던 요양원에서의 시간을 고대하기 시작했다. 나는 곧 간호사들에게도 유니폼을 벗어던지라고 권했다. 처음에는 완강히 반대했지만 그들도 결국 나를 따랐다. 그 요양원에서 내가 하던 일은 연구가 아니라 자문이었으므로 데이터는 수집하지 않았지만, 일단 유니폼을 벗어 버리자 뚜렷한 변화가 생겨났다. 사람들이 서로 교류하기 시작한 것이다. 노인들과 간호사, 의사, 자문 위원 사이에는 여전히 나이와 지위 같은 차이가 존재했지만, 이러한차이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일이 줄어들었다. 노인들은 간호사를 부르는 일이 적어졌고, 간호사들은 노인들을 좀 더 존중하는 듯했다. 도대체 왜 우리가 매일 살아가는 바깥세상이 이처럼 의료 기관에서 도우려 하는 취약한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일까? 어쩌면 그 해답을 과거의 경험이 종종 우리가 알지 못하는 방식으로현재 행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조명하고 있는 사회 심리학 연구에서 찾을 수 있을지 모른다. 아주 사소한 일에서도 과거의 경험이 두드러진 영향력을 미치는 경우는 꽤나 흔하다. - P155
<도전이 길러 주는 의식 집중도> 요양원에서는 노인들을 위해 일상을 가능한 한 쉽고 편하게 유지한다. 겉보기는 좋은 일이다. 그러나 아무런 어려움이 없다면 성취감을 느낄 여지 또한 거의 없다. 정말로 쉬운 인생을 살기 바란다면, 초보자 코스에서만 스키를 타고, 악기로는 음계 연주로만 만족할 것이며, 혹시라도 새로운 것을 시도하는 일은 드물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대부분 지적으로나 육체적으로, 또는 양쪽 모두 도전하기를 원한다. 새로운 것을 배워 숙달하면 기분이 좋아질 뿐 아니라 우리에게 이롭고 건강에도 좋은 의식 집중도를 길러준다. 이미 잘하는 상태보다는 잘하려고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과정에서 의식을 집중하기 때문에 더 많은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노인들은 이 같은 이점을 자주 쉽사리 박탈당한다. 우리는 그들의삶을 너무 쉽게 만들 뿐만 아니라,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도 없으면서어려움을 겪을 때마다 지나치게 도움을 주려 한다. 돕는 사람 입장에서는 남을 돕는 행위가 스스로에게 만족감을 주겠지만, 자꾸 반복되다 보면 도움을 받는 사람은 스스로를 무능하다고 느낄 것이다. 하버드 의과 대학교의 제리 에이본(Jerry Avorm) 박사와 나는 노인들에게 과제를 맡긴 다음, 직접적인 도움을 주거나 그들 스스로 해결하도록 내버려 두고 관찰해 보았다. 4 결과는 명확했다. 도움을 받은 이들의 과제 수행 성적이 가장 나빴다. 다른 사람들을 돕는 손길을 중단하라는 이야기가 아니다. 그런 상황에 놓일 때마다 한번 더생각하고, 좀 더 시간을 주면 상대방이 스스로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 의문을 품어 보라는 이야기다. 혼자 해결할 수 있다면 그 사람은건강해지도록 스스로를 돕는 셈이다. - P159
사람들에게 호기심을 만족시킬 기회가 주어진다면, 장애인과 맞닥뜨렸을 때 덜 피하게 되는지 확인하고 싶었다. 우리는 먼저 참가학생들에게 일방 투시 유리로 다리에 커다란 보조기를 찬 사람을 관찰하도록 한 뒤, 곧이어 한 방에 있을 때 학생들이 그 사람과 얼마나가까이 앉는지 그 거리를 측정하는 실험을 실시했다. 놀라울 것도없이 갑자기 그 사람을 소개받고 함께 앉으라는 요청을 받은 학생들보다 미리 구경한 학생들이 더 가까이 앉았다. - P16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