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의 기분, 바다표범의 키스 - 두번째 무라카미 라디오 무라카미 라디오 2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권남희 옮김, 오하시 아유미 그림 / 비채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루키가 책의 서문에 적은 글이다. 본업은 소설가이다 보니 주 업은 아니다 라는 뜻을 보여주고 싶었던 것 같다. 하지만 비난을 의식해서인지 일본에서 가장 맛있는 우롱차를 목표로 글을 썼다고 적었다. 물론, 하루키의 성격상 평론가들을 의식한 것 같지는 않고 독자들을 의식해서 저리 말을 했을 것이다. 전문 에세이 작가는 아니니 잘 봐달라 이런 뉘앙스로 받아 드리면 될 것으로 보인다.

이 책 역시 매거진에 연재되어 있던 내용을 수록한 것이라 가볍고 밝다. 그리고 논란이 일어날만한 글은 사전에 이런 내용을 쓰면 논란이 있을 수 있을 것 같다고 하면서 스스로 자제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다 보니 부담 없이 편하게 읽을 수 있는 글인 것 같다. 당연하게 문화가 다르고 나라가 다르다 보니 그쪽에서는 불편한 주제가 여기서는 편한 주제일 수 있고 거기선 편한 주제가 우리 쪽에서는 불편한 주제가 될 수 있다.

주제가 어떻든 간에 신변잡기의 편안한 이야기다 보니 그렇게 부담스럽진 않았다. 내용도 편지 쓰는 건 너무 어렵다던지 에세이 쓰는 건 어렵다는 투정도 간간이 보인다. 이런 글을 이렇게, 저렇게 봐도 투정이다. 거창한 담론이 아닌 편지 쓰기 싫어서 써야 하는 글도 안 쓰고 버티고 있고, 에세이 쓰기 싫어서 쓰기 싫다는 내용으로 칼럼 한편을 휙 날리는 놀라운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이것도 유명 소설가이니 할 수 있는 일이다. 별로 유명하지 않은 소설가였으면 저런 행복을 할 수 있었을까? 어림도 없었을 것이다. 출판사에서 글을 싣는다는 결정을 내리기도 어렵지만 독자가 읽을까? 유명 소설가의 에세이니 출간되고 독자가 있는 것이다. 30년 전의 에세이는 나름 주제가 있었다. 이 에세이는 아무런 주제가 없다. 오죽하면 이 글을 쓰는 방법을 기술해 놓은 내용을 보면, 소설을 쓰기 위해 소재들을 모으다가 소설에 넣지 않은 글을 정리해 놓은 것 중 고른다고 한다.

더 얄미운 건 그렇게 쓴 글이지만 부정할 수 없도록 재미있다는 것이다. 재미있어서 정신을 못 차릴 정도는 아니지만 한번 잡으면 끝까지 읽을 때까지 책을 붙잡게 된다. 어쩔 땐 능글능글 때론 뻔뻔하게 페이지를 술술 넘어가게 한다. 물론 중간에 있는 삽화도 그런 분위기에 한 몫하는 건 부정할 수 없다. 잘 만든 책이다. 라디오 시리즈의 마지막인 1권이 남아 있는데 2, 3권이 이런 분위기면 1권은 나쁠 것이 없을 것 같다.

편지를쓸 수 없다.

‘이 편지 답장 써야 되는데’, 생각만 하고 질질 끌다가 결국 의리가 없거나 인정이 없는 사람 혹은 몸이 안 좋은 것이 돼버린다. 당신은 그런 경험이 없는지? 나는 비교적 자주 그런다.
물론 글을 쓰는 게 직업인 사람이니 편지를 쓰는 일이 절대적으로 힘든 건 아니다. 일단 마음을 먹으면 별 어려움 없이 쓱쓱 쓸 수는 있다. 그런데 ‘자, 편지를 쓰자‘ 하는 마음이 좀처럼 들지 않는것이다. ‘내일 쓰지, 뭐 하다가 사흘이 지나고, 일주일이 지나고, 한 달이 지나버린다. 그렇게 되면 답장 같은 건 이제 영원히 쓰지못한다.

- 본문 P72 중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