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병주 교수의 조선 산책
신병주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건국대학교 신병주 교수의 책이다. 미디어에 자주 얼굴을 보인다고 하는데, 거의 티비를 보지 않기 때문에 책을 보기 전까지 누군지 잘 몰랐다. 저술한 책을 보자니 거의 대부분이 조선인 것으로 보아 조선이 전공인 것으로 보인다. 책의 내용은 신문에 기고한 칼럼을 모아서 출간한 것으로 그래서 한편 한편이 짧아 보기에 편하다.

그래서 책이 너무 간결하고 쉽다. 오히려 너무 가볍게 느낄 정도까지 이다. 역사에 대해 깊은 지식을 얻기 위해서라면 읽지 않는 것이 좋다. 역사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여 만들어진 책이라 보는 것이 옳겠다. 물론 신문에 기고했던 내용을 책으로 엮은 것이니 어떻게 보면 당연한 것일 수도 있겠다. 조선사에 대해서 산보하듯 사뿐사뿐 읽어 볼 수 있는 책이다.

산책이라 제목으로 작성할 만큼 깊이 없이 가볍고 이것이 이 책의 목적인 것은 알겠다. 하지만 산책하다 아름다운 광경이 보이면 주의 깊게 살펴보거나 걸음을 멈추고 사색하곤 한다. 아주 짧은 여행? 산책에는 그런 의미가 담겨 있지 않을까? 마냥 걷기만 한다면 그건 산책이 아니라 이동을 위한 수단일 것이다. 그렇게 되면 주변을 돌아보는 여유는 갖지 않을 것이고 목적지에 발을 딛기 위한 목적만을 갖게 된다.

이 책은 독자에게 깊게 생각할만한 내용을 전달하지 않는다. 슬쩍 지나가듯 보여주고 끝나곤 한다. 그렇게 짧은 글을 보완하기 위해 삽화를 많이 넣은 것 같은데 오히려 그 삽화가 눈에 띄지 않게 되었다. 오히려 내용을 더 보강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또, 신문에 기고하기 위한 목적이 강하다는 게 느껴지것이 지금이 몇 년도이고 현재의 이슈를 보니 조선시대 이런 내용이 떠오른다고 작성하면서 시작한다. 최근의 일이어서 금방금방 기억하고 읽었는데 몇 년만 지나면 무슨 일이 있었는지 기억도 못할 것 같다. 그것이 많이 아쉬웠다.

아쉬운 것이 많음에도 평타 이상이라 생각하는 이유는, 역사라는 어려운 내용을 그나마 읽기 쉽게 작성했다는 것에 있다. 어느 정도 역사에 대해 관심 있는 사람이거나 지식이 있는 사람이면 크게 와 닿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지식이 전무하거나 관심이 없던 사람이라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길잡이는 될 것 같다. 산책을 하기 전 걷는 것에 대해 흥미를 갖게 하기 위한 정도로 적당하다고 할까?

가볍게 한두 시간 정도 읽기에 적절한 책인 것으로 보인다. 저자가 쓴 책들을 살펴보니 주로 역사를 알기 쉽게 풀어쓴 것이 많은 것 같다. 그래서 이렇게 읽어 보기 편한 책을 낸 것은 아닐까?. 저자는 이 책으로 걷는 것의 즐거움을 알고 역사에 대해서 산책하고 사색하길 바라고 책을 쓴 것은 아닐까 생각해 본다.

- 본문 P182 중 -

길하다는 날을 골라서 만든 경복궁, 군자 만년 큰 복을 누리리라는 칭송으로 가득했던 경복궁은 태조가 들어가 산 지 채 3년도못 가서 골육상쟁의 피비린내가 진동하는 1398년 1차 왕자의 난이 일어나는 비극의 공간이 되고 말았다. 그래서일까? 1592년 임진왜란으로 경복궁이 폐허가 된 후 조선후기의 왕들은 창덕궁과 창경궁을 중건하는 대신에 경복궁은 중건하지 않았다.
조선왕실을 상징하는 공간 경복궁은 폐허가 된 지 270여 년 만에 다시 그 위용을 드러내게 된다. 흥선대원군이 집권하면서 왕실의 위엄을 드러내기 위해 경복궁 중건 사업을 지시한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