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끼 개 낮은산 어린이 5
박기범 지음, 유동훈 그림 / 낮은산 / 2003년 7월
평점 :
절판


박기범 작가는 문제아라는 작품을 통해서 알게 되었다.

문제아를 읽으면서도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는데

이 작품을 읽으면서는 정말 가슴이 너무나 아팠다.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내 가족에게 내 친구들에게

그리고 내 아이들에게 일방통행적인 내 방식대로 대화를

하고 강압적으로 그것이 사랑이라고 하지는 않았는지

그리고 그로 말미암아 상대방은 고통을 겪은 것은 아닌지?

인간과 인간과의 소통!!  서로가 진실을 이야기하고 있는걸까?

아니면 상대방을 이해하려거나 사랑하려는 마음대신에

자신의 생각을 상대방에게 강압적으로 하지는 않았는지? 

"널 사랑하니깐 그러는 거야" 라며 자신을 정당화시키지는 않았는지?

그 말 한마디에 상대방은 또 얼마나 상처가 남았을까?

사랑한다면 정말로 사랑한다면

그 깊은 마음까지도 읽으려고 노력하고 상대방이 자신의

맘을 열어보일 수 있도록 여유를 가져야 되지는 않는지?

이 책을 읽으면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생각하고

특히 우리 아이들과 대화소통에 대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눈물 , 콧물 다 쏫으면서 읽고 읽어주었던 책입니다.

박기범 작가와 차 한잔을 함께 하면서 대화를 나누고 싶군요!

어미개도 읽었습니다.

요 근래에 가장 좋아하는 작가입니다. 마음이 굉장히 여리고 아름다운

사람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저 또한 그렇습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구두 2004-09-15 13: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시, 내 안의 폭력

나는 우리가 살고 있는 삶이, 우리 안에 있는 폭력이 이 전쟁을 일으키게 했다 하는 말에 동의한다. 하지만 내가 생각하는 ‘내 안의 폭력’의 핵심은 내가 마음으로 누굴 미워한다거나 누구를 용서하지 못한다거나 하는 게 아니라 내 삶의 방식, 그것이라는 생각이다. 그 삶의 방식이란 이 세상의 조화를 깨뜨리면서 사는 모습, 내가 더 가지거나 더 씀으로써 누군가가 그만큼 갖지 못하게 되고 써야 할 곳에 쓰지 못하게 되는 결과를 낳는 소유나 소비가 일상화 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석유가 모자라 그것을 가지고 싸움을 하는데 나는 여전히 안 써도 될 석유를 알게 모르게 더 쓰고 있었을 것이다. 2리터 들이 생수를 사 마시면서 계속해서 플라스틱 통을 쓰레기로 만들기도 하고, 떠날 때 옷을 챙겨오지 않아서 집에 속옷과 양말이 많이 있는데도 어쩔 수 없이 새 속옷과 양말을 샀다. 이것 말고도 무수히 많겠지. 필요 없는 전기를 더 썼고, 필요 없는 물을 더 틀었다. 예전에는 이러한 것들이 그저 당위로서의 절약 정도로만 여겨질 뿐이었다. 깐깐하게 그렇게 따진다는 게 아주 고리타분했다. 하지만 모든 다툼이든 전쟁이든 결국은 한정된 자원을 두고 더 많이 갖기 위해, 더 먼저 확보하기 위해, 더 많이 쓰기 위해 일어나는 거라고 생각하면, 그래서 힘이 더 센 자들이 힘 약한 자들을 죽이면서 빼앗는 거라 생각하면 내게 필요한 것 이상으로 가지는 것보다 더 큰 폭력이란 없다는 걸 알겠다. 점점 더 자본, 그리고 자본과 결탁한 권력이 더 더 더 더 많이 가지려 하는 까닭에는 세상 한 쪽에는 대부분 사람들이 자기가 필요한 것보다 더 쓰며 사는 데에 익숙해 있고, 또 다른 세상 한 쪽에는 그런 사람들이 버리는 쓰레기만큼도 얻지 못해 굶어죽는 이들이 그 수만큼이나 있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마치 내가 가진 돈으로는 내 마음대로 펑펑 써도, 아무렇게나 소비하고 쓰레기를 만든다 해도 존중받을 개인의 취향 정도로만 여겨진다. 그건 다른 누군가의 목숨을 죽이는 일이다. 내가 더 쓰는 만큼, 누군가는 그만큼 모자랄 것이고 그건 곧 그만큼의 목숨을 빼앗기고 있다는 말이다. 아무리 생각해도 내 안에 있는 가장 큰 폭력은 소비하는 삶에 있던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이 삶을 바꿀 수 있을까. 우선은 소비를 최소한으로 줄이는 걸 거다. 최소한으로, 최소한으로 꼭 필요한 만큼만. 그 다음으로는 이제라도 손수 만들거나, 손수 거두거나, 손수 지을 수 있게 하나하나 새로 배워야 한다. 완전 자급자족은 하기 어렵겠지만 조금이라도 더 그쪽에 가까운 삶을 살 수 있게끔. 이 폭력, 누구나에게 있는 ‘소비하는 삶’이라는 이 폭력은 그 사람이 선한가 선하지 않은가의 문제를 떠나 있는 것이다. 경쟁과 소비라는 말로 대변되는 이 사회에 잘 적응해서 살고 있다면 스스로는 원하지 않았더라도 이미 그 폭력의 구조에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 삶의 방식에서야 조금 더 쓰고, 조금 더 누리는 것이 하나도 죄 될 일이 아니었지만 결국은 그것으로 해서 누군가의 목숨을 빼앗으며 살아온 것이다. 그러니 내 안에서부터 폭력을 지우고 평화를 찾아가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나에게 꼭 필요한 만큼만 가지고 있는지, 쓰고 있는지 돌아보는 것부터 시작할 일이다.

* 망명지 여러분, 모두 평안하신지요? 저는 바쁘게 헐떡이며, 정말 짐승처럼 먹고 사는 데 급급한 날들을 보내고 있습니다. 이 치열한 도시에서 욕심을 버리지 못해 만날 아프고, 상처 입으면서도 이렇게 사는 법밖에 모르나 봅니다. 늘 핑계투성이인 이 미욱한 마음을 언제나 훌훌 비워버릴지 모르겠어요. 깊어가는 가을, 모두 건강하시기를...
* <평화를 바라는 바끼통> 소식지에서 동화작가 박기범 님의 글을 일부 퍼 왔습니다. 지금 김재복 수사님과 박기범 님이 파병을 반대하며 오랜 기간 단식 중이랍니다. 두 분 몸이 너무 많이 축나지 않기를 기원합니다. 또 부디 이 세상에서 전쟁이 사라지기를 무릎 꿇고 기원해 봅니다.

흐르는 강물처럼 2005-05-24 09: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올 곧은 생각입니다. 저는 가장 큰 폭력이 소비라는 생각까진 못 했으니깐요!
님의 해박성과 양심적인 말씀에 감동입니다.
소비를 적게하는 삶을 살도록 몸부림 쳐보겠습니다.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