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공지영 지음 / 푸른숲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공지영 지음..

 

중학교 시절..

책을 좋아하는 나에게 친구가 생일 선물로 주었던 것은

공지영 작가의 '고등어'라는 책이었다.

선물이기에 일단 읽긴 읽었지만 나이에 맞지 않는 내용으로

재미없게 읽었던 기억이 있다.

그 뒤로 공지영 작가의 책은 읽지 않는 책으로 분류되었었고

역시나 그 분의 책은 읽지 않았다.

(그 뒤에 읽은 책은 '봉순이 언니'정도였다.)

그러다가 아는 언니의 추천으로 이 책을 바로 구입..읽었다.

 

영화때문인지 자꾸만 윤수는 강동원으로, 유정은 이나영의 모습으로

오버랩 되었다. (참 훈훈하구나.ㅋ)

 

참... 무섭다.. 사형제도라는 것..

내 주위사람중에 누군가가 당한다면 나도 발벗고 그 범인을 저주하겠지.

용서.. 주님은 원수를 용서하셨고, 용서하라 하신다.

난 용서할 수 있을까? 나에게 원수인 사람을 용서할 수 있을까?

인간이 인간을 심판한다는 것...

이 책을 읽고나니.. 사형제도라는 거..참 무섭다..

 

 

사형제도는 그 벌을 당하는자들 이외의 사람들에게는

있으나 마나한 제도이다. 정신적으로 수개월 내지 수년동안 육체적으로 생명이 다하지 않은 제 몸뚱이가 둘로 잘리는 절망적이고도 잔인한 시간 동안 그 형벌을 당하는 사형수에게만 의미가 있는 것이다. 다른 품위라고는 아무것도 없으니, 오직 진실이라는 품위라도 회복할 수 있도록

이 형벌을 제 이름으로 불러서 그것이 본질적으로 어떤지 인정하자.

사형의 본질은 복수라는 것을...  

 

알베르 카뮈 <단두대에 대한 성찰>

 

 

윤수가 교화되어가는 과정.. 그리고 유정이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고 마음을 열게 되는 과정은..

나에게는 뒷전이다..

이 책을 읽는 내내 난 '사형'이라는 단어에 집중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