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 2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여자라는 생물
마스다 미리 지음, 권남희 옮김 / 이봄 / 2014년 10월
평점 :
절판


누구에게나 자신의 인생이 있고, 엄마도 할머니도 아닌 단 한 사람의 '나'가 있다.
여자로 태어났으니 아이를 낳고 키운다.
그것만으로 전부가 충족되는 건 아니지 않은가.
늙어 간다는 것은 모두 첫 경험. 그것은 어딘가 허무하고 쓸쓸한 기분.
그럴때, '몇살이 되어도 여자로 있고 싶다'라는 말은
                                     우리의 버팀목이 되지 못한다.               -본문 152p-
 
 
 어떤 책이든, 영화든 개인적으로 '중심'을 찾으려고 노력하며 감상한다.
그 중심이란, 이 많은 이야기를 담을 수 있게 만들었던 이유나 계기가 될 수도 있고,
한 줄 요약이나 줄거리가 될 수도 있고, 에피소드중 가장 공감을 주는 얘기가 될 수도 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 본문에서와 만화에서 best를 뽑아봤다.

 

 내게도 나만 아는 행복이 있는데,
그 사실이 누군가에게 전해지지 않는다 해도
           별로 상관 없을지도 몰라.  -본문 33p-

 

   마스다 미리는 행복에 대해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이다.

 

  "가장 행복했던 순간이 언제인가요?"

  " 최고의 행복의 기준치를 생각하지 않고 살아가고 있어요. 소소한 행복도 모두 행복이니까.

    보여지는 것이 아닌 행복은 스스로 느끼는 것이죠. 행복해야지 라는 생각조차.."

 

  마스다 미리는 이런사람이다. 그러니까 대담에서 마스다 미리를 소개할 때, '일상의 철학자'라는 수식을 붙였을때, 자리에 있던 모든 사람들이 고개를 끄덕였던 것은 당연한 일인지도 모르겠다. 그녀의 만화와 에세이는 모두, 결국 흔하디 흔한 일상의 편린 속에 있다.

  일상의 편린 속에서의 근본적인 질문, 문득 드는 생각의 조각들을 모아서 '나' 자신을 만들어가는 디딤돌이 되고, 그것은 내가 나로 살아가는데에 힘을 부여한다.

 

  마스다 미리가 말했다.

 "좋아하는 것을 오래하기 위해 일상의 삶도 소중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나는 항상 그녀의 책을 읽을때 '슬로우 리딩'을 지향한다. 그녀가 천천히, 그리고 소중히 생각하는 일상인 만큼 그녀가 칸 만화에서 띄어쓰는 글씨 간격처럼, 헐떡이지 않고 천천히 읽고 천천히 생각을 디디며 천천히 곱씹어 본다. 문장과 그림이 눈에서 머리로 넘어가면서, 개별적인 기억과 사상을 건들이고 그 속에서 가지가 뻗어나간다.

 그녀가 이렇게 생각한 부분에 공감해. 나도 그런 경험이 있었는 걸.

 그녀가 이렇게 생각한 부분에 공감하지 않아. 나는 이렇게 생각하는 걸.  ​

 그녀의 책속에서 발견하는 것은 결국 그 두가지이다. 공감과 성장.

이번책은, 여자라는 생물이라는 제목으로 여성성을 강조한 것 같지만, 사실 그녀의 책은 늘 그러했다. 10대의 그녀가, 20대의 그녀가, 30대의 그녀가, 40대의 그녀가 겪어가며 생각했던 '여자'로서의 삶의 이야기. 결혼도 하지 않고, 아이도 낳지 않은 여자의 이야기. 늘 그러했다.

 

"20대에는 '결혼'이 생각의 전부를 차지했고,

 30대에는 '사랑'이 생각의 전부를 차지했습니다."

 라고 말하던 그녀는, 30대에 느꼈던 감정들을 모아 [나는 사랑을 하고 있어]라는 책을 냈고,

40대의 지금에 대해 쓰여진 이 책은 그녀가 일상의 삶 속에서 '어른의 성장'을 이야기로 다루고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여자'가 어떻게 '나이'를 들어가는지에 대한 이야기 라고.

 

 

​  여자로 태어나 살아본 삶은 어때? 라는 질문을,

 다음생에서는 여자로 태어날래 남자로 태어날래로 우회적으로 돌려두곤

 결국 남자로 안살아봐서 모름으로 대답해주는 센스.

이래서 마스다 미리가 좋다.​

 마지막으로, 책 제목에 대하여..

 이전에 대담에서 ​작가 정이현씨가 감탄하면서 어쩜 그렇게 책 제목을 잘 지으냐며, 작명센스가 엄청나다고 칭찬하자, 마스다 미리는 짧고 굵게 대답했던게 생각난다.

 "제목은 편집자가 책 내용에서 선택해서 만들어줍니다."

 

 아마 편집자님께서.. 이번 제목은 저 문장(196p)때문에 고르지 않았나 싶다...ㅎ..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쓸쓸해서 비슷한 사람 - 양양 에세이
양양 지음 / 달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라는 말 속에 '너'와 '나'라는 개별체가 존재한다는 것을 잘 안다.

우린 참 비슷한 사람.

그리고 당연히, 외로웠다.

 

그래서 우린, 쓸쓸해서 비슷한 사람.

 

  이 책속에 담긴 이야기를 요약하자면, 위에 쓴 네줄이 될것 같다.

구성은 5가지 파트로 나누어지는데 이는 양양의 노래가 된 노래제목별로 나뉜다.

번지기 기법으로 그려진 수채화 일러스트가 글귀와 마찬가지로 잔잔하게 번진다.

 

 사실 에세이는 그 작가를 좋아라 해야 그사람의 일상생활과 평범한 생각의 조각조차 궁금해서 읽게 되는데, 양양은 좋아하는 작가도, 가수도 아니였지만 그녀의 일상속 잔상들을 들여다보는건 생각보다 재미있었다. 왜냐하면 우린, 비슷한 사람이니까.(웃음)

 

 

PART01. 노래는

놓쳐버린 '인연'은, 그렇게 내 사람이 되지 못하고 흘러간다.

내 맘속에 '네'가 넘쳐나도, 이대로 멈추어 주었으면 하는 '시간'도 흘러가기 마련이다.

나를 위로해주고 내 맘과 같았던 '노래'도 귓가에 머물지 못하고 흘러갔다. ​

바로 그런, 이야기. 

 

PART02. 기차는 떠나네

 

 내가 좋아하는 노래만 선곡해주는 라디오 DJ처럼, 좋은 노래들을 추천해주기도 하고

짧은 문장들 몇개가 드문드문 적힌 다이어리처럼, 자신이 체험했던 몇번의 여행 경험과

일상의 파편을 늘어놓기도 하면서 이야기를 펼쳐놓았다.

 

나는 대체 무슨 말을 하려하는가.

그래, 길 위에서는 언제나 청춘이었다.

돌아보면, 아팠던 기억도 섭섭했던 순간도 한없이 순수했던 그 마음도.

모두.

 

바로 그런, 이야기.

 

 

PART03. 쳐다봐서 미안해요

 

낭만을 들고있는 사람과 마주친 날에 낭만적으로 기분좋은 당신의 이야기.

저사람과는 평생 모르고 지냈으면 좋겠다는 오만 혹은 진심어린 이야기.

사람 구경하다보면 나의 과거와 나의 현재와 나의 미래가 그려지면서 시간가는 줄 몰랐던 이야기.

마주친 그대여, 지나치는 그대여, 우리는 여기서 각자의 길을 가기로 해요.

또 모르잖나. 우리가 생각보다 잘 들어맞는 퍼즐이 될지도.

 

다른것을 보고싶을때는 나무 아래 오래 앉아 있으면 됩니다.

나무 아래 오래 앉아있었다, 하고 읊조리는 시간,

나는 나를 바라보고 있었습니다.       (본문169p)

바로 그런, 이야기.

 

 

PART04. 시인의 밤

 

 누구나 시인이 되는 밤이 있다.

​  그날의 일을 잊지 못하며, 과거의 일을 들추며, 미래의 일을 상상하며 낭만 가득한 밤을 그린다.

  그러다가도 어차피 나는 시인은 못 돼. 라며 금방 마음을 접게 되는, 그런 날도 있다.

너를 사랑한다고 말하지 못한 밤이 있다.

백가지를 펼쳐두고 마음 쏟았으나 한가지도 마음 얻지 못한 밤이 있다.

부끄러운 밤이 있다.

가슴 벅찬 밤이 있다.

그리운 밤이 있다.

외로운 밤이 있다.

하늘에 저렇게 달이 있는데 당신이 없는 밤이 있다.

찾고 또 찾아보아도 내가 찾는게 무언지도 모르겠는 밤이 있다.

그게 인생일 테지, 그것만은 어찌해도 알껬는 밤에는, 우리, 별이나 보자.  (본문 195p) 

 

바로 그런, 이야기.

 


PART05. 우린 참 비슷한 사람

​우린 참, 비슷해서

때로는 당신이 나만큼 밉고,  때로는 당신의 그 차가움조차 이해되서 안타깝고, 

때로는 당신이 그만 아파했으면 좋겠고, 안쓰럽고, 우리가 너무 닮아서 외롭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해 못하는 순간이 찾아오기도 하고..

그래도 나는, 나와 당신이 다르다고 생각되지는 않는다.

 

 

당신의 창문 속이 늘 궁금했습니다.

당신은 누구인지가 아니라 당신은 무엇인지를 알고 싶었습니다.

그것은 나는 무엇일까 하는 질문에 답을 줄것만 같았기 때문이죠.

그러나 당신의 창문은 초대가 없습니다.

거기, 창문속의 당신. 당신도 어느날은 위태로운 한숨을 삼키며 잠드나요? 뭐가 뭔지 모르겠어서 마른 고함을 질렀나요? 그래도 잘 가고 있어, 고맙고 행복하기도 한가요? 달이 쨍한날, 혼자 실실 웃나요?

그런가요, 당신도?  (본문 247p)

 

바로 그런, 이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 2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