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넷우익의 모순
야스다 고이치 외 지음, 최석완 외 옮김 / 어문학사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쪽발이' '조센징' 이렇게 본래 이웃나라인 한국과 일본은 대중문화 깊숙히 상대국에 대한 하

대(下對)의 인식을 품고있다.   그러나 그것은 오랜역사에 있어서 경쟁, 착취, 앙금이 모여 생겨

난 자연스러운 형태의 것이였기에, 과거 크게 문제가 될 만한 종류의 것은 아니였다.   그저 끼

리끼리 모여 수근대며 민족의 동질감을 다지는 일종의 가십거리와 같은 것 이였다고나 할까?

속으로는 욕해도 겉으로는 매너를 지키는 것! 그야말로 어디까지나 '공은 공 사는 사' 였다.

 

그러나 오늘날 사회문제로 드러나는 상대민족과 국가에 대한 혐오는 때론 사회적으로 노골적

인 적대를 드러낸다는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아니... 오히려 일본이 보여주고 있는 '

혐한'은 과거 제국주의시절 유행했던 '배척과 우월주의'가 다시 오늘날 재등장 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들게 할 정도로 그 규모가 상당하고 또 치밀하다.    물론 그 혐한이 노골적으로 또

범국민적인 이해를 받으며 성장하고 있다는 뜻은 아니다.    그러나 점점 그 규모가 커지고 있

고, 또 국제적 영향력을 미치는 정치인과 같은 공무원들에게도 그러한 혐한의 인식이 점점 드

러나고 또 확대되고 있다는 것은 경계해야 할 일이다.

 

때문에 이 책은 '혐한' 특히 인터넷 공간에서 드러나는 '넷 우익' 에 대한 특징과 문제점을 진단

하기 위해서 두명의 일본인과 한명의 한국인이 그들의 머리를 맞대며 자기가 생각하는 넷우익

의 참모습을 이 책에 풀어놓는다.      

 

과연 넷우익이 가지는 특징은 무엇일까?    이 책에는 많은 내용이 들어있지만 조금 간추리자면

'넷우익은 유행' 이라는 하나의 주장이 개인적으로 나의 시선을 붙잡는다.    과거와는 다르게

이제 개인도 광범위한 사람들에게 다가 갈수 있는 광역매체를 다룰 수 있게 되면서, 너도나도

자신이 생각하는 바를 드러내는데 거부감이 없다.    그러나 단순히 유튜브에 노래나 게임하는

것을 올리며,오락을 추구하는 사람들과는 달리 혐한주의자들은 지금 일본이 안고 있는 많은 사

회적 문제점들에 대한 원인을 '조센징' (한국인)에게 가져다 붙이며, 많은 이들에게 그 주장에

대한 공감을 구걸한다.  

 

물론 한국에서도 외국인 노동자같은 타민족에게 그리 호의적인 모습을 보여주지 않는다.   하

물며 과거 식민지의 '이등국민'이였던 한국인을 바라보는 우익의 눈길은 어떨까?    다행스럽게

?도 아직 일본에서 노골적으로 한국인을 폭행하거나 살해하는 등의 (LA 폭동같은) 가학적인 차

별은 드러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인간을 인간으로 보지 않는 정신적인 면에서, 재일한국인 그

리고 그 2~3새대들이 은근히 또는 노골적으로 느끼는 심적 고통은 심히 무시하지 못할 정도일

것이다.    때문에 이 책에 등장한 사람들은 그러한 현상에 대한 미래에 대해서 상당히 큰 우려

를 나타내고 있다.   그저 한국인을 희생해 자신의 세력을 키우고, 또 사람들의 시원한 곳을 긁

어주려는 반일주의자 그리고 그들이 유포하는 '아니면 말고' '이렇다 하더라' 하는 불확실한 정

보를 여과없이 통과시키는 인터넷의 단점... 과연 넷우익에 대한 진정한 해결점은 무엇일까? 

이젠 '공감'과 '진단' '우려'를 넘어, 해결을 위한 '행동'을 보일 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