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먼 자들의 국가 - 세월호를 바라보는 작가의 눈
김애란 외 지음 / 문학동네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월호 사건을 보고 들으면서, 과연 대한민국의 국민들은 어떠한 생각을 하였을까?   먼저 사고

의 충격과 희생자들에 대한 안타까움의 감정이 먼저일 것이다.    그러나 이 책에 드러난 감정

의 대부분은 그야말로 '분노'이다.   과연 그 무엇이 이 글쓴이들을 분노하게 하였을까?   그것

은 바로 '국가가 국민을 구조하지 않았다' 라는 현실을 만들어낸 대한민국의 오늘, 그리고 세

월호를 통해서 드러난 '한국의 민낮' 그 자체다.

 

이 책에서 많은 글쓴이들은 '국가'의 무능을 질타한다.  그리고 희생자들을 안타까워하고, 마지

막으로는 "어째서 이러한 비극이 일어났는가?" 하는 일종의 '자기진단'(주장)을 하며, "다시는

이러한 일이 없어야 한다" "이 사건을 일으킨 사회 모두가 반성하고 또 그에 걸맞는 책임을 져

야 한다" 라며 입을 모은다.    그러나 어떻게 보면, 이 책은 그야말로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꼴이 생각하는 내용을 담고있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작가, 문학가들이 모여서, 생각할 거리를

제공하고, 또 반성을 촉구하며, 마지막엔 이 책의 수익 전부를 '세월호 희생자'들을 위해서 쓴

다는 목적은 그야말로 위의 사고를 접하고 목격한 국민들이라면 조금이나마 응원하고, 격려하

고픈 생각을 가지게 한다. 

 

이제 세월호는 단순히 배 한척이 침몰하고 사람들이 희생된 '재난' 이 아니게 되었다.   이 책에

서 주장하다 시피 세월호는 '사고' 가 아닌 '참사'로 기억되어야 마땅하며, 국민들은 그 사고의

이면에 드러난 모든 부조리와 욕심에 대해서 경계하고 증오하는 마음을 품어야 한다.    눈에

보이지 않는다는 이유로 간과하고, 비용이 든다는 이유로 외면한 '안전'에 대한 문제부터, 단순

히 비용을 위해서 사람을 일회용 부품으로 생각한 회사의 지나친 실용주의에 이르기까지... 한

국은 그야말로 앞으로 전면적인 개조가 필요하지 않을까?

 

[한우리 북카페에서 도서를 지원 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