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은 바로 섰는가 - 하루를 시작한다면 마쓰시타 고노스케처럼
PHP종합연구소 엮음, 김현석.여선미 옮김 / 책이있는풍경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날 한국 뿐 만이 아니라, 일본도 상당히 어려운 경제적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그러나 사회

생활을 하는 국민의 입장에서 보면, 오늘날의 위기는 절대로 국민들이 나태하거나 쾌락주의적

향략에 빠진탓이 아니다. 오히려 서민들은 국가가 만든 비정규직을 억지로 수용하고, 위기극복

을 위해서, 장롱의 금붙이를 기부하는 등 나름대로의 애국심을 십분 발휘하여 왔으니까... 그러

나 국가, 기업은 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다시 한번 국민에게 '노력해달라' 주문하고 있다.

 

충성심, 애사심 그야말로 내 한몸 다 바쳐 공동체를 위해서, 다시 한번 노력하여 달라... 이렇게

그들은 개인보다 공동체를 위한 미학을 다시 한번 주문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일본식 경영문화로 성공한 저자 역시 '공동체의 이익' '공동체의 장점과 필요성'을 중심으

로 많은 이야기를 이 책에 남기고 있다. 그리고 특히 수많은 직원들을 거느린 경영자이자, 공동

체의 책임자로서의 책임과 마음가짐을 논하는 많은 격려와 메시지는 본국 일본에서 그에게 '경

영의 신' 이라는 명칭을 부여하게 해준 가장 큰 이유가 되어 주었다.

어차피 사회인들은 일반적으로 사회 속에서 경제활동을 하여야 한다. 그리고 미우나 고우나 회

사원으로서, 그리고 하나의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그 소임을 다 하며, 그것으로 생활을 위한 급

여를 받는다. 그렇기에 저자는 어차피 일 하여야 하는 것 보다 충실하고, 또 자기반성과 성찰을

통한 성장을 하여, 개인으로도 큰 발전을 이루는 성과를 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빈정거림

과 자기 기만으로 과연 무엇을 할 수 있다는 말인가?" "나의 가치를 주장하기 위해서,흔히 사용

하는 반항과 비 협력의 모습은 과연 공동체에 있어서 어떠한 악영향을 미치는가?" 나는 이러한

저자의 메시지를 보면서, 지금의 나의 위치와 책임 그리고 그로 인한 사회적 공헌에 대한 나의

위치를 다시 한번 돌아보고 또 정리하는 시간을 가졌다. 박봉에 승진도 늦지만... 그래도 불만

보다는 보다 충실한 회사 생활을 하면, 이 책에 드러난 대로 가까운 미래 그에 대한 보답을 받

을 수 있을까? 아니면 그저 가진자의 배부른 헛소리에 휘둘린 것 뿐일까. 과연 "내 마음은 바로

서 있는가?" 아직 이 책에 대한 내용의 진가를 경험하려면 앞으로 많은 시간을 더 접해야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