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세자 - 나는 그들의 비밀을 알고 있다
이재운 지음 / 책이있는마을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처음 이 책의 내용을 접하였을때, 첫장부터 뜬금없이 '장옥정'의 이야기가 나와, 잠시 당

황 했었던 적이 있다.     그도 그럴것이 이 책의 제목은 '사도세자'... 즉 이 책에는 조선왕조에

이르러 가장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했던 한 사람이자, 아버지 (영조)에게 버려져, 뒤주 속에서 '

권력의 무서움과 비정함'의 진수를 맛 본 '역사적 인물'의 이야기가 등장하여야 하지 않은가?

그러나 저자는 굳이 악녀로 알려진 '장희빈'의 이야기를 시작으로, 자신의 주장의 운을 떼고

있다.     그가 이 책을 통하여 표현하는 조선의 본모습, 그것은 당쟁싸움으로 얼룩지고, 또 신

하들의 권력에 압도되어, 나라의 정책은 물론, 왕실가족들의 (왕 자신도 포함) 생명조차 지키

지 못했던 나약한 왕권의 이야기 이다.
 
내가 아는 사람의 말에 의하면, 조선의 왕이 "왕 노릇 하면서" 가장 많이 들은 문장은 바로 '통

촉하여 주시옵소서' 란다.  물론 이 이야기는 당시 우스갯소리로 이해되어, 단순히 모임에 훈훈

한 공기를 넣어주는 것으로 끝났지만, 여기서 좀더 진지하게 생각하여 보면, 어째서 조선의 국

왕들이 '더러워서 왕 못하겠다' 라며, 선위파동을 벌였는지 그 가닥이 잡힌다.   
 
예를들어, 조선은 고려시대 '왕권'을 휘둘러 '악정'을 펼친 왕들에 대한 지탄과, 체제의 문제점

을 이유로 칼을 들었던 군사 쿠테타 세력에 의해서 만들어진 국가이다.    게다가 과거 드라마

정도전에서 보여지듯이, 조선의 정치형태는 처음부터 유가사상에 근본을 두는 '민본정치'와 붕

당정치'를 본떠 형성되었기에, 당시의 왕과 신하는 나름대로 그 권력의 균형을 이루었다.   그

러나, 정치의 믿음과 가닥을 잡기 위한 붕당이, 보다 권력을 소유하기 위한 붕당으로 변질되면

서, 그야말로 조선의 왕은 뜻하는 바를 이루기 위해서, 신하의 눈치를 보아야 하는 신세로 전락

하고야 말았다.    
 
이에 저자는 조선의 역사에서 '악명'을 떨친 장희빈과, 대원군... 그리고 급작스럽게 환후(질병)

으로 세상을 떠난 많은 군주들의 이야기 속에는 그만큼의 '당쟁 비사'가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정말로 장희빈이 사씨남정기와 같은 간악한 요녀의 표본으로서, 살다 죽었을까?   정말로 사도

세자는 아버지의 왕위를 노린 반역자 였을까?  물론 대중의 역사속에서, 그들은 요녀요, 폭군

이요, 정신병자에, 반역자이다.   그러나 오늘날의 한국사학계는 이들의 역사적 평가에 대한 많

은 부분이, 당시 노론과 소론을 형성했던 신하들의 '정치공작'을 통해서 형성된 음모에서 비롯

되었기에,  이에 인물의 새로운 재평가와,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주장하고 있다.   (그리고

실제로 오늘날에 출판되는 많은 역사서와 '평전'은 과거와는 달리 그들에게 미온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다.)
 
물론 이 책도 그러한 오늘날의 정서를 반영한 서적으로서, 그들이 도덕적 실책이나, 정신적

문제점으로 죽고 실각했다기
보다는 '왕권'과 '신(臣)권'의 줄다리기에서, 패했기 때문

에 오명을 뒤집어 쓰게 되었다
는 식의 이야기를 줄거리로  조선왕조의 많은 사건과 이야기

를 다룬다.    이에 나는 이러한 내용을 읽으면서, 필사적으로 '패자를 변호하는' 저자의 의지에

긍정적인 시각을 가지게 되었다.     아무리 '역사는 승리하는 자의 것 이라지만' 그래도 패자가

영원히 '오명'을 뒤집어 쓴 체 욕을 먹는다면, 과연 역사의 의미에서 '정의'라는 단어가 가지는

의미는 대체 무엇인가?   
 
정말로 역사는 어렵고도 심오하다.   아니... 어쩌면 역사란, 애초부터 힘과 권력이 전부인 '피

의 괴물' 일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