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을 지켜온 나무 이야기 - 한국인이 좋아하는 나무로 만나는 우리 문화와 역사
원종태 지음 / 밥북 / 2014년 8월
평점 :
절판


예전부터 나무는 무엇하나 버릴 것이 없는 존재였다.    가공하기 쉬운 관계로 각종 가구가 되

어주거나 건설재료가 되어주고, 오래 타는 성질 때문에, 가정집의 땔감이 되어주기도 하고, 심

지어 나무에서 열리는 열매나 속 껍질은 보릿고개를 넘어야 하는 조상들의 절박한 비상식량이

되어주기도 했으니까... 그러나 오늘날에 이르러 '기계화된 산업시대'에 길들여진 사람들에게

있어서, 나무란 그저 보기좋고, 공기정화에 탁월한 '자연의 생물'이란 지식으로 뭉뚱그려져, 심

하면 어느것이 어느 나무인지 조차도 구분 할 줄 모르는 사람도 많은 것이 현실인데, 저자는 그

러한 현실이 안타까웠는지 한반도에 현존하는 나무들의 역사와 전설과 같은 옛 이야기를 정리

함은 물론, 한반도의 조상들이 어째서 나무를 사랑하고 길러 왔는가? 하는 정신론적 개념을
정리한 이 책 '한국을 지켜온 나무 이야기' 를 세상에 내놓았다.
 
실제로 한국엔 국가인 애국가에도 '남산위에 저 소나무' 라는 구절이 들어 있을 정도로, 나무

를 상징적 의미로 활용하는 문화가 발달했다.   예를들어 나의 고향 예천의 명물인 '세금내는

나무' 석송령과 같이 한국엔 그 존재만으로도 상징성을 띄는 뼈대있는 나무들이 많은데, 이 나

무들은 점점 나이를 먹어가면서, 어느덧 오백년에서 천년에 이르는 유구한 세월을 자랑하며,

그래서 그런지 사람들은 이른바 애니미즘과 토테미즘이 결합된 믿음 즉 '신령'이라 불리우는

믿음을 나무에게 부여하거나, 그 사실 확인이 모호한 전설을 나무에 부여해, 특별함을 더한다.
 
때문에 이 책에서 소개하는 뼈대있는 나무들은 모두들 그 지방을 상징하는 '상징성' 역사적 의

의와 전설을 뒷받침하는 '증명성' 어째서 사람들이 그 나무를 사랑하는가? 하는 '민족성' 모두

를 아우르고 있어, 읽으면 읽을수록 마음속에 스며드는 한국의 정서가 그 무엇보다 반갑다.  

단순한 식물학적 전문서를 떠나, 손쉽게 한국의 나무들을 접할 수 있는 책... 그야말로 이 책

은 한국의 나무를 설명하는 가장 재미있는 '이야기 책' 이 아닌가?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