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실 카스트
스즈키 쇼 지음, 혼다 유키 해설, 김희박 옮김 / 베이직북스 / 2013년 10월
평점 :
절판


많은 '어르신'? 들에게 있어서, '학창시절' 은 그리움과 같은 '좋은 추억거리'를 제공하는 소중한

가치 일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 젊은층에게 있어서, 그 학창시절의 기억이란, 과거처럼 그다지

소중하다거나, 그립다는 이미지가 아니라, 사람에 따라서 '잊어버리고 싶은 끔찍한 기억'으로

남아 있는 경우도 있다.     이는 오늘날에도 큰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는 '왕따' 라는 존재 때문

인데, 이에 심각한 '이지메' 문화를 지니고 있던 일본에서는 이 '학교 따돌림' 에 대한 문제를 보

다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전문 심리학적인 해석을 통해서, 어째서 집단 따돌림이 일어나는 것인

가? 하는 의문에 대한 해답을 발견하려고 노력한다.

 

이에 이 책은 그러한 노력에 대한 결과물중 하나로서, 특이하게도 따돌림에 대한 아이들의 인식

을 인도 고유의 '전통적 신분제' 카스트 제도의 성격과 비교하였다.   책에서는 학교에서 일어나

는 많은 따돌림이 절대적인 '그들의 신분사회'에 의해서 발생된다는 주장과 함께, 그 신분이라

는 것이 어디까지나, 주위의 환경과 외부의 압력같은 '환경적 요인'에 의해서 생성되는 것이 아

니라, 학생들만의 의지와 관점으로 만들어진 '독자적 신분제' 라는 것을 정의하고 있다.

 

때문에 저자는 이러한 주장을 통해서 "어째서 어른들의 노력에도 따돌림 문제가 해소되지 않

는가?" 하는 사회적 물음에 그 나름대로의 해답을 내놓았을 뿐만이 아니라, 그보다 더 앞서 이

미 '그들의 세계' 에 만연한 교실의 신분제에 과연 어른들은 어떠한 방향으로 접근하여야 하는

가? 하는 것을 주제로 학생과, 학부모, 선생들과 같은 '관계자' 들과 꽤나 기나긴 토론의 시간을

가지고, 또 그 진행과정을 이 책의 내용으로 삼았다.

 

때문에 이 책은 근복적으로 이지메의 해결에 대한 해법을 제시한 책이 아니라, 어째서

이지메가 나타나는 것인가?  하는 원인규명에 대한 이야기로 보아야 마땅하다.

 

 

이 책에서 토론을 진행하는 사람들은, 저마다의 환경, 직업, 접근성에 따라서 각자 다양한 시선

으로 따돌림에 대한 정의를 지니고 있다.   학생들이라 해서 '왕따'를 시키는 상위층에 대한 증오

의 감정이 없는 것이 아니요,  교사라 해서 왕따가 어디까지나 학생들만의 문제라 여기고 있지

도 않다.   심지어는 '상대적 평등상태'인 학생들이 스스로 사회의 구조에 걸맞는 신분

차를 만들어 '스스로 작은 사회를 만든것이' 왕따문제의 근본적인 시작이라는 놀라운

주장도 나온다.  이미사회는 '잘사는 자와 그렇지 않은자'  '실패자'와 '성공자'라는 보이지 않

은 신분제를 가지고 있는데, 세삼스럽게 학교에서 그와 같은 일이 일어난다고 해서, 그에 대해

효과적인 해결책을 생각한다는 것 자체가 이미 모순이 아닌가? 하는 주장이 그것인데, 그들의

주장에 따르면 애초부터 '이지메를 근절하자' 라는 정부와 학부모들의 바램은 절대로 이루어 지

지 못할 이상론에 불과해 진다.

 

학생들은 학생들만의 신분제를 통해서, 잘나가는 자와 그렇지 못한자를 구분한다.  그리고 그 구

분점은 어른들이 원하는 성적차나 능력주의가 아니라, 외모, 스포츠능력, 인맥같은 학생특유의

기준점에 의해서 구분되며, 낮은계급에 대한 그들의 대우는 마치 약육강식에 의한 동물적인 괴

롭힘을 동반한다.  이에 어른과 학생.... 사회적 신분제와 학생의 신분제에서 유일하게

것...그리고 제일 뿌리 뽑아야 하는 큰 문제점은 왕따 그 자체에 대한 문제가 아니라,

높은 신분에 있는 자가 뿌리는 '폭력의 씨앗' 의 존재라고 정의해야 할지도 모른다.

  

학생들의 이지메는 집요한 폭력과, 금품갈취, 심지어는 성적인 폭력(인권유린)을 동반한다.   그

리고 그것이야 말로 우리가 해결 해야 할 진정한 왕따 문제의 본질일 것이다.      학생들이 편을

가르고, 끼리끼리놀고, 상대방에 대해서 편견을 가지는 것은 이미 그들만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

으로 만연한 문제이기에 그 해결책은 없는 것과 같다.   그러나 적어도 소외되는 계층에 대한 무

분별한 불이익에 대한 것만은 막아야한다.     그리고 그 해결책의 하나로서, 무엇보다 학생들에

게 괴롭힘에 대한 대가(사회적 책임) 은 상상이상으로 가혹하다는 진실을 인식하게 하는 것이 무

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이 이 책을 읽은 나의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