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 연대기 1 - 그리스-페르시아 전쟁부터 미국 독립 전쟁까지 전쟁 연대기 1
조셉 커민스 지음, 김지원.김후 옮김 / 니케북스 / 2013년 6월
평점 :
품절


 

지구상에 사는 생물들은 모두 자신의 생존과 욕망을 해소하기 위한 수단으로 "싸움"이라는

행위를 곧장 잘 사용하고는 한다.         그러나 지구의 광물을 제련하고, 과학과 같은 지식적

학문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대상을 죽이는 무기를 만들며 싸우는 존재는 그 많은 생물중

인간이 유일하며, 또 전쟁의 방식 또한 호전적인 화학적 분비물(아드레날린)에 전적으로 의지

하기 않고, 전략과 전술이라는 일종의 법칙을 만들어 '고상하게?' 싸우는 존재도 인간 특유의

싸움법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덕분에 인류는 무수한 무기, 무수한 전장, 무수한 명장들을 만들어 내며, 지금까지 전쟁의

역사를 꾸준하게 이어오고 있으며, 전쟁을 통해서 쌓아올린 첨단 과학기술은, 우리들의

일상생활을 풍요롭게 하는 편의시설 등에 도입되어, 현대인들이 더욱 스마트? 한 생활을 영유

할 수 있도록 해준다.       말하자면 현대인들은 과거 조상들의 피와 살점으로 지불한 '값비싼'

유산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의 후손들은 세상에 둘도 없는 평화롭고

풍요로운 시대를 살아감에도 불구하고, 전쟁을 일종의 게임으로 생각하거나, 단순한 학문적

가치로 생각하며, 그 의미를 가볍게 여기는 모습을 종종 보이고 있음은 물론, 심지어는 전쟁

행위 자체를 동경하는 사람들도 생겨나고 있다.       

 

물론 이 글을 쓰는 나 자신도, 그들과 다를것 없이 과거 전쟁의 전술적 의미를 설명하는 다큐

멘터리나 영화등을 보거나, 각종 역사서나, 무기도감 같은 서적을 보면서, 당시 사용했던 파괴

적인 분위기는 느끼며, 그것을 통한 일종의 '본능적인 쾌감'을 느낌과 동시에, 그것이 가져다

주는 웅장한 맛? 을 좋아한다.

                          

때문에 인류는 인간의 역사는 '파괴의 역사' 전쟁의 역사는 곧 '인류의 역사' 라는 흔한 인식을

만들어 내었고, 그 상식에 기대어 자신의 내면에 숨어있는 파괴의 욕구를 애써 내리 누르기

위해서,  끔찍한 전쟁에 대한 이야기를 배우고, 또 그 속에서 발견 할 수 있는 교훈을 가슴속에

새기는 자기 반성의 시간을 가지는 것을 적극적으로 권하기도 한다.      

 

어째서 우리는 전쟁 의 아픔을 배워야 하는가?  그 이유는 전쟁의 아픔이란 책과 영상만으로

익히고 깨닫기에는 그 깊이가 너무나도 깊고 어둡기 때문이다.     한국인에게 있어서 임진왜란

과 6.25전쟁이 보여주는 진실과 교훈은 어떠한 것이 있을까?   스페인사람들에게 있어서 스페인

내전은 어떠한 감상으로 다가올까?    미국인에게 있어서 남북전쟁은? 세계2차 대전은? 과연

어떠한 의미가 있는 것일까?     그것은 분명 '처참하게 당한' 수난자들만이 동감할 수 있는

아픔의 역사임이 분명 할 것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교훈얻자고 전쟁을 벌일수는 없는일! 

때문에 부족하나마 과거의 살육의 역사를 배우면서 '전쟁나면 개고생' 이라는 불멸의 진실을

주입식으로 배우는 수밖에 달리 방법이 없다.    즉 내가 잘 살고 죽기 위해서 전쟁의 역사를

배우는 셈이라고 도 정의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역사의 모호함이 늘 그렇듯, 전쟁은 민족과 국가들의 견애와 의의에 따라 그 해석이

미묘하게 틀어지거나 대립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마치 일본과 중국,베트남, 한국이 각자

느끼는 2차대전의 시각을 보아도, 누가 진정한 피해자인가? 하는 기본적인 내용조차 공통한

합의점을 찾지 못하는 것이 오늘날의 현실... 때문에 바른 역사인식은 매우 중요하며, 특히

민족과 국가간의 갈등을 그린 전쟁사는 그중 특히 그 중심을 잘 잡아 주어야 한다.   

 

그러나 이 책은 총2권에 이르는 두꺼운 분량과, 종이로 된 '위키피디아' 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정보가 세분화 된 점은 분명 장점으로 꼽히지만, 백인민족, 즉 미국인이 만든 역사책이다 보니,

동양의 전쟁에 대한 배려나, 그 정보의 신뢰성 은 그저 평범한 수준에 머물러 있고, 태평양

전쟁과 이라크 전쟁 같은 미국과 밀접한 내용의 기록은 어디까지나 미국인 중심의 역사관을

그대로 노출했다는 느낌이 든다.   그야말로 '가재는 게편' 이라는 생각이 절로 나는 책의

구성이라고 평가해도 될 정도인 것이다.     

 

때문에 전적으로 이 책의 내용을 신뢰하기 보다, "이 책은 다양한 전쟁의 이야기를 접하고

맛본다는 가벼운 의미를 두고 읽거나, 자료 참고용으로 보는 것이 적당하다."  라는것이 내가

이 책에 내린 나름대로의 정의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