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물의 구조 이야기 - 과학 원리로 재밌게 풀어 본
미셸 프로보스트.다비드 아타 지음, 필리프 드 케메테르 그림, 김수진 옮김, 허재혁 감수 / 그린북 / 2013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건축물을 짓기 위해서 필요한 '요소'라는 것은 단순히 공구와 재료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인간이 거주와 '다른이유'로 인위적인 건축물을 지어올리기 시작하면서, 쌓아올린 건축 노하우

즉  물리&공학적 지식과, 그 기술의 발전은 그 어느 재료의 강인함과 유연함보다 더욱 중요한

요소가 될 뿐만이 아니라, 시대의 변화에 따라 추구하는 가치를 충족시키는 현실적인 방법으로서,

현대인들의 인식에 강하게 남아있다.          만약 현대인들이 넓은 공간, 밝은 채광, 쾌적한

환경등에 대해서 무각감 하거나, 그 필요성에 대해서 강한 인식을 가지지 않았다면? 

수십~수백년이 지난 오늘날의 건축양식은 아마도 '파르테논 신전' 과 같이 칸칸마다 기둥과

대들보가 빼곡히 들어 찬, 웅장하지만 비효율적인 가치에서 그대로 머물러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인류는 그 필요성에 따라 지구의 중력, 재료의 뒤틀림, 환경에 대한 재료의 변화와

내구력의 감소.. 등등의 많은 난재를 극복하고, 더욱 크게, 더욱 넓게, 더욱 화려하게 건축물을

지어올리는 성과를 발휘했다.      그러나 그 행위를 위하여 사용된 물리학적 지식은 의외로

이 책의 이야기처럼, 알기쉬운 내용 즉 "우리는 중력에 도전한다!" 는 식의 '작용과 반작용'에

대한 지식이 자주 사용되었고,  이는 개인적으로 나에게 있어서, 예전부터 좋아했던 역사적

건축물의 기술적 가치를 조명했던 '다큐멘터리'의 이야기를 책으로서(문자로) 다시 한번

복습한다는 (익숙한)의미로 다가왔다.  

 

특히 전문가적인 이미지와 그 내용에서 탈피하여, 마치 고등학교? 선생과 그 수준의 학생이

'건축물의 원리'에 대하여 이야기를 나누는 '학습도서'에 가까운 쉬운 내용들과, 로마의 판테온,

파리의 노트르담 대성당과 같은 유명한 건축물이 어떠한 원리로 '우뚝 서 있는가?' 하는

역사적인 의미가 있는 내용이 무척이나 마음에 들었는데,   이와는 반대로 너무 서양의

건축물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진행되는 것이나, 기술적인 한계에 도전하는 건축물을 다루는

장르가 거의 '다리'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은 동양.. 아니 한국인 독자로서, 크게

공감하기에 어려움이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문득 들고는 한다.

 

(동양에도 만만치 않은 건축물이 많다..라는 아쉬운 생각도 함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