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각의 지배 - 인간은 두뇌로 음식을 먹는다
존 앨런 지음, 윤태경 옮김 / 미디어윌 / 2013년 1월
평점 :
절판


이 책을 논하기 전에 한번 상상의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자, 여러분들은 혹독한 기도원의

은총으로 이미 무언가를 섭취하기를 간절하게 원하는 상태이다.  이때!! 누군가가 여러분들이

원하는 음식을 단하나 건내준다고 제의했을때 과연 여러분들은 어떠한 음식을 원할 것인가?     

개인적으로 주위의 친구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역시 일반적인 예상에서 그다지

벗어나지 않는 결과가 나왔다.      특징적으로 사람들은 제일 먹고 싶어하는 것으로 쓴맛이나,

단맛을 제외했다. 

 

이에 당연히 일반적인 채소나, 과일류도 그 대열에서 제외된다.      사람들이 제일 먹고싶어하는

음식... 그중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것은 바로 치느님(프라이드 치킨)!! 이였다.  

 

이에 연상선으로 여러분은 이러한 일을 겪은 적도 있을 것이다.      여성들이 식사를 한후

달콤한 디저트를 음미하며 디저트배는 따로있다고 이죽거리거나, 배부르게 식사는 했지만,

정작 원하는 음식을 먹은 것이 아니어서 좀처럼 만족감(만복감이 아니다) 을 느끼지 못하는경우 

등등...이처럼 수많은 에피소드들은 사람들이 진정으로 먹을 것으로 만족감을 얻기위해서는

바로 만복감과는 다른 무엇의 역활이 대단히 중요하다는 결론을 내리게 한다.      

어째서 우리들은 만복감으로는 만족하지 못하는가?  어째서 우리들은 배를채우는 행위를 위해서

'맛' 그리고 '식감'이라는 존재에 의지해야 하는가?  

 

이처럼 우리는 위장이 주는 생물학적 만족보다는 뇌에 전달되는 전기신호에 더욱 민감하다.   

그야말로 살기위해 먹기보다는 먹기위해서 산다는 표현이 어울리는 '문명인'의 본보기로서,

우리들은 바삭하고, 짭짤하며, 자연이 주는 그대로의 형태보다 인간들이 스스로의 창의력으로

가공하고 재 탄생시킨 새로운 맛을 추구한다. 

  

이에 이 책은 음식의 고고학적 발전과정에 대한 의문에 대한 해답을 일종의 의학에 해당하는

'뇌과학'에서 찾는다.    이 책의 정의에 의하면, 아이러니하게도 우리들이 다양한 맛을

추구하는 원인은 살기위해서 음식을 먹는 행위에서 유래했다고 보고있다.      우리들은 앞에서

거론 했다시피 자연적이지 않는 맛과 식감을 추구한다.     그러나 인류가 그러한 맛에 길들여지는

과정에서는 자연적인 식재료가 무엇보다 큰 역활을 차지했다.     인류는 그야말로 다른 동물들이

엄두도 못내는 다양한 맛을 위장에 소화하기 위해서 눈물겨운 노력을 한다.    

바삭함은 곤충에서,  얼큰함은 매운 채소(고추)에서, 담백함은 사냥한 고기에서, 그리고

짭짤한 맛은 바닷물이나 자신의 온몸??? 에서...  이같이 손에 집고 입에 털어 넣을 수 있는

모든것을 맛보고, 소화하는 과정은 자연스럽게 우리의 뇌에 '친숙한 맛'으로 인식되어 대대손손

그 데이터가 이어져 온다.

 

생각해보면 우리들이 구석기의 사람들과 다른것이 무엇인가?   우리들은 그들이 먹은 맛에 대한

개념을 그대로 답습하고있다.         달라진 것이라고는 우리는 곤충의 바삭함 대신,

포테이토칩이나 튀김이 주는 바삭함에 만족한다는 것 뿐이다.      메뉴는 달라졌지만,

추구하는 맛은 같다... 이 책은 그러한 사실을 상당히 과학적으로 증명하기 위해서 다양한

실험을 했고 그 결과를 이 책 속에 담았다.   맛은 배가 정하는 것이 아니라 혀와 뇌가 정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