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치꼬치 일본관찰 지식의 비타민 1
지식활동가그룹21 지음 / 문화발전 / 2012년 12월
평점 :
품절


 

지형학적 영향 때문인가? 아니면 개인적인 취향탓? 인지는 모르겠지만,  나는 일본문화

(특히 문학/만화)를 자주 접하는 편이다.    하지만 많이 접한다고 해서, '모국이 아닌 다른 나라의' 환경과, 문화에 쉽게 공감하는 것은 의외로 어려운 법!!.   실제로, 책을 보다가도 종종 이해하기

어려운 단어나, 주인공의 사고방식, 문화적 차이점을 접하면 그 공감과 재미가 반감이 되는것을

자주 느끼고는 한다.   

 

그러기 때문에 '일본의 작품을 접하는 사람들은' 필연적으로 일본의 문화를 궁금해 하고,

또 알고 싶어하는 '지식욕'을 보이는데,  문제는 한국에선, 의외로 이러한 일본의 문화의 궁금증을 속 시원하게 풀어주는 서적이나, 아이템이 상당히 부족하다는 것이다.

어째서 우리들은 바로 옆동네의 이웃나라에 대해서 그렇게 무심한가?  어째서 한국인에게

일본이란, 이웃이기는 하지만, "미운 이웃" 으로서 인식되는 것인가?  

 

이러한 의문에 한국인은 말한다.

*일본은 한반도의 문화를 흡수하고, 또 학생의 입장에서 이것 저것 배웠으면서도,

그 은혜를 원수로 갚았다.    

 

*일본은 자신이 한 (전쟁) 과오를 반성하지 않고, 또 그 피해국(한국)에 정식으로 보상을

하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서, 일본은 한국에 있어서, 상당히 미묘한 관계를 유지하는 시원섭섭한

 이웃으로, 또 적대적인 가십거리의 (씹을거리)의 위치에서 쉽사리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 증거로 이 책의 띠지를 보라!!  책을 팔게하기 위해서, 일본인에 대한 적대적인 위치를 고수하는 분위기를 풍기지 않는가?

 

하지만 역시 궁금한 것은 궁금한법.. 나는 원한다!!  *일본인은 어떠한 생각을 하고 있는가? 

*일본인은 어떠한 어떠한 환경속에서 살고 있는가?  *일본인은 어떠한 것을 좋아하는가? 

*일본인은 어떤것을 먹고 마시고 즐기는가?. 하는 사소한..아니 너무나도 사소했기에 미쳐

다루어지지 못했던 이야기들을 (궁금증을) 속 시원하게? 풀어줄 책을!!  그러한 의미에서,

'꼬치꼬지 일본관찰'은 그러한 잡지식을 충분하게 설명하고 다루는 것으로서 나의 요구에

상당히 근접한 책이다.     한가지 아쉬운 점을 꼽으라고 한다면..  역시 너무 많은 주제들을

다루다 보니, 복잡하고 질서가 없는 것 같은 난잡함이 느껴지는것 정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