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다섯, 비밀의 방 - 제10회 푸른문학상 수상작 푸른도서관 55
조규미 외 지음 / 푸른책들 / 2012년 12월
평점 :
절판


 

 

한국의 청소년들은 불행한 사회속에 살고 있는 것일까?  팍팍한 공부, 조기교육 열풍, 성적

우선주의, 사회적 교류와 사교성의  부재로 인한 집단 따돌림과 학교폭력, 그리고 최근 두드러지고 있는 아동.청소년 성 범죄까지.. 이제 아이들은 '천진난만 하고 '쾌활하며, 순수하다.." 라는

인식은 이미 과거의 유물이 될 판이다.    

   

이미 옛이야기가 되어 버렸지만, 나의 학생 시절에는 이른바 X세대.. 어른들에 대한 "대항과 저항" 의 인식이 등장하여, 사회의 문제가 되었던 적이 있다.   그 당시에도 왕따, 따돌림, 불량아, 폭력등의 문제점이 없는 것은 아니였지만, 그 당시의 아이들의 "주적"은 어디까지나, 권위적이고

딱딱한 어른들이었으며, 덕분에 그 하나의 적에 대항하여 상대적으로 똘똘 뭉쳐 그들만의

자유로운 문화를 형성하고, 만들어가는데 한몫을 담당하는 장점도 있었다. 

 

그러나 요즘 아이들은 그 삐뚤어진 욕구와 불만을 어른들에게 표출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들 스스로 계급과 신분을 나누고, 그 작은 질서 속 에서, 각자의 이익을 얻으려고 하는

소극적인 모습이 보이는데,  문제는 그들이 속박되는 작은세계 속에서 빼앗는자와 빼앗기는 자의 신분이 존재하며, 그 괴롭힘의 정도는, 과거에 비해서 더욱 치밀해지고, 집요해 졌다는 것에 있다.

       

이제 사회와 어른들..그리고 성숙한 아이들은 그러한 문제의 심각성에  눈을 뜨고, 그에 대한

대책과 인식의 변화를 요구한다.   문학의 세계도 마찬가지, 이제 문학계는 어른들과 비슷한

눈높이를 가진 '아이들' 에게 과거의 아름답고 현실성이 없는 '꿈동산의 이야기"  을 들려주어

보았자, 더 이상 그들의 공감과 관심을 얻을 수가 없다는 '냉혹한 현실' 을 받아들이고,

그들의 눈높이에 맞춘 교육적이고, 공감적인 글을 내놓아야 한다는것을 깨달았다.

 

실제로, 아이들의 교육과 더불어, (소중한) 천진함을 되돌리고, 청소년의 문제에 대한 사회의

공감을 이끌어내는 선구자로서의  역활수행을 해야 하는 문학의 필요성에 부합하기 위해서..

많은 (양식있는 사람들이) 노력하고 있으며, 이 단편집도 그러한 노력의 결과물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