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님, 나의 주인님 - 총천연색 이야기의 아릿한 맛
전아리 지음 / 은행나무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말로 아무~~것도 모르던 당시.. 이 책을 고르게 한 나의 개념은 그야말로 "주인님, 가학,

피학, 뜨겁게 달구는 등... (뭔지 알겠지??) 그러한 분위기와 극찬을 아끼지 않은 책머리의 글에 혹!! 했던 것이 사실이였다.

 

아,,그렇다고 너무 비난하지는 말아 달라 요즘들어 주인님 하면 그렇고 그런 내용이 차고 넘치게 발매되는 시대가 오늘날의 시대가 아닌가?   책을 부여잡고 내가 기대하는 내용이 펼쳐지기를

기대했지만, 이 책은 내가 원하는 내용을 전해 주기는 커녕, 더욱 더 심한 정서적 충격을 주어

버렸다.  

 

작가 '전아리' 라는 존재를 진작에 알았다면.. 나는 그때보다 마음의 준비를 단단히 했겠지만,

아무것도 모르고 완전히 허를 찔려버린 상황에서 그녀가 들려주는 현대사회를 투영하는

'힘과 폭력'의 이야기는 그야말로  나의 같잖은 '도덕심'이라는 아성을 순식간에 무너뜨렸고,

그 후 밀려드는 충격과 특히 '분노'의 여운을 한참 동안이나 음미 해야만 했다.  

정말로 그 분노를 떨쳐버리느라.. 얼마나 노력했는지 모른다.

 

책 속의 이야기들은 하나하나의 단편적인 이야기가 오밀조밀 모여있는 단편집이라,,

긴 글을 읽는다는 지루함이 없다.   그러나 짧은 단편은 그야말로 깊이가 없어 유난히도

감동이나 여운을 느낄수가 없다는 것이 일반적인 감상인데, 이 책은 그러한 약점을 '충격과 공포' 를 이용해서 커버한 유난히도 특히한 책이라고 소개하고 싶다.

 

우리들은 이상적으로 현대사회를 구성하는 '인간관계' 속에서, 동화같고 청춘드라마 같은

밝은 활기참을 기대하지만, 정작 우리의 관계는 상하복종의 관계부터, 서로를 견재하고

밀어내고, 이용하기까지.. 그야말로 나쁘고 암흑적인 관계를  더 잘 사용한다.

 

이 책은 그러한 사회의 어두움을 굳이 숨기려고 하지 않고, 오히려 문학이라는 양념을 더해서

더욱 잔인하고 적나라하게 부각시켰다.  사람을 사람으로 보지 않는 '학교폭력' 사람을 그저

욕구에 의해서 이용할 뿐인 '성폭력' 사회가 용서하지 않지만 그 욕망을 주체하지 못하는

'변태 피학자의 고뇌' 그 모두가 그들만의 가치관이 있고, 그 가치관에 충실한 행동을

보였을 뿐이라는 냄담하고 무책임한 결말과 내용은 마치 저자가

'이상적인 정의만을 외쳐봐야 변하는것이 없다.' 라는 냉소적인 그만의 철학을 대변하는

것 같았다.

 

젊은이들이 술안주 삼아 자주 말하는 테마가 있지 않은가?   세상은 병들고 있다는 내용.. 도덕은 타락하고, 기득권은 썩어있고 정의는 추락해 이 세상은 우리들에게 '미래가 없다.' 라는 이야기...   이 책은 그러한 푸념을 그야말로 걸작으로 승화시킨 작품이다..

이 책을 읽을 사람들이여..그대는 어디까지 버틸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