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여자 대통령
박영만 지음 / 프리윌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처음 보았을때 생각났던 것은 (역시, 정세가 정세인지라) '대선'이라는 단어와 특히

'박근혜 밀어주기' 라는 목적이 뚜렷한 책이 아닌가? 하는 것이였다.    

그래도 역시 지나친 생각일 뿐 "시국에 겹칠뿐이지 정치와 결부시키지말자..."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첫머리부터 돌려 말하기는 했지만, "예 박근혜 밀어주는 책입니다." 라는 내용이 떡!! 하니 적혀있는

바람에 나도 모르게 실소했던 기억이 있는 책이기도 하다...

 

여성들이 사회와 국가의 운영을 대표하는 지위에 오른 횟수는 확실히 남자들의 횟수과 비교한다면

열악하기 짝이없다.   남자들은 예로부터 사회를 지배하고, 가정을 책임지고, 나라를 위해서

무기를 들었다는 이유로, 남자가 여자보다 우월하다는 의식을 확립했다. 

그러나 요즘나오는 수많은 역사서를 들추어보면 여성이라고 해서, 언제나 망국의 원인이 된다거나

남자들보다 덜한 위업을 달성한다는 법은 없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오늘날의 세계는 여성,남성 모두가 평등하다는 사상에 익숙하다. 여성이라고 해서 참정권이 없는 것도

아니요, 신분의 제약이 있는것도 아니다.   이제 여성은 원하면 나라를 위해서 총을 들 수 있고,

다수의 사람들을 책임지는 단체의 책임자의 역활도 맡을 수 있다. 실제로 수많은 여성들이

나라의 대표자 '대통령'의 자리에 선출되어 그 역활을 다 하고 있다.  

 

이 책은 그러한 여성들을 재조명하는 책으로서, 1970년대부터 오늘날까지의 '여성 대통령'들의

이야기를 접할 수 있다.  그러나 책에 등장하는 여성대통령들이라고 모두 정치를 잘 한것은 아니다.  

가난한 나라에 집권해, 타고난 카리스마로 나라의 발전을 이루어낸 대통령이 있는가 하면,

이도저도 아닌 통치에 족벌체제를 강화해 대통령 자신의 권력만 강화한 대통령도 있고, 나약한 정치가로서 결국 나라가 군부에 넘어가자 나라 이곳저곳을 다니며 망명생활을 한  힘없는 대통령도 있다.   

 

그러나 그것이 어디 여자라서 생긴 결과인가?   남자들이라고, 나라를 몰락시키지 않고, 

독재자가 되지 않는가? 아마도 남자가 더했으면 더했지 덜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지금의 대선때문에 색안경을 완전히 벗기는 어려웠지만, 그래도 내용을 보면 그다지 나쁜 책은 아니다.   근대,현대사의  여성의 사회진출을 다룬 책이라고 생각하면, 그만큼 유익한 책이 되기도 한다.   

역시..뭐든 마음먹기에 다른것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