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캔들의 여인들 - 역사를 바꿔버린
엘리자베스 케리 마혼 지음, 김혜연 옮김 / 청조사 / 2012년 8월
평점 :
절판


 

 

여인들의 역사는 속박과, 불평등의 역사라고 한다.

속된말로 인류가 땅에 "알박기" 시작 하면서, 여인들의 역사는 어두운 그늘속에 지배되어 왔다는 것이다..

실제로 여인들은 남성들에게 복종해야 했고, 남성들의 정치도구가 되어 휘둘리며, 심지어는 심심풀이용(노예) 으로 팔리기도 했다.

힘이 모든것을 지배했던 과거의 시대부터, 모든 인간이 동등한 가치를 지니는 21세기가 되기까지, 여인들은 남성들과 동등한 지위와

권리를 누리기 위해서 노력해 왔다.

 

물론, 세계사를 보면, 남성들을 위해서 "현모양처" 가 된 여성들이 더 많았지만, 남성을 능가하는 능력과 정치적 감각으로,

남보다 위에 섯던 "당찬 여성" 들도 심심치 않게 눈에 띈다.   그러나 역사의 평가는 그녀들에게 그리 호의적이지 않다.

현모양처로 이름을 높인 신사임당 (신인선), 치요 와 같은 위인들은 "이상적인 여성들의 귀감" 이 되어 사람들의 좋은 평가를 받지만,

남자를 뛰어넘어 자신의 가치를 높었던, 당찬 여인들은 그 기세 때문에 뜻밖의 악평을 받기도 한다.

그러나 무엇을 기준으로 그들을 평가 하는가? 

 

"여인천하" 처럼 권모술수로 신분을 상승시킨 장희빈, 남편 유방을 도와 한나라의 기틀을 잡고, 그를 대신해 권력을 차지한 여인

여치(여태후), 모두가 자신의 영달과 가치관의 상승을 위해서 모든것을 이용해 "승리한" 여인들 아닌가?

제한 된 세상 안에서, 자신이 이용 할 수 있는 모든것을 이용해 자신의 가치를 높이는것, 그것이 "지혜"라면 옳은 것이고,

"미모"라면 천박한 것인가?  분명, 장희빈은 마지막에 사약을 받아 죽음으로서, 악녀라는 명성을 얻었다. 

그러나, 오로지 그들이 맞이했던, 결과만을 보고 그들의 가치를 평가한다는 것은 어떻게 보면 너무나도 잔인하다고 본다.

 

 

남자들도 정치적인 연줄이나, 남을 밟고 올라서는 "권모술수" 를 통해서 자신의 입지를 다진다. 

반대로, 평생 쾌락과, 놀음을 쫓는 사람도 있었고, 이완용 처럼 나라에 막대한 피해를 준 자도 있으며, 여성을 방패삼아 권력을 누리는

자도 많았다. 같은 행동, 같은 가치관을 향해 달렸지만, 어째서 "남자" 와 "여자 라는 것 만으로 180도 다른 평가를 받아야 하는가?  

어째서, 카사노바는 희대의 "로멘티스트" 이고, 마타하리는 희대의 "요녀" 로 불리워야 하는가?

 

이 책 "스캔들의 여인들" 도 그러한 의문점을 드러내는 책 중 하나다.

책 속에는 역사의 한 획을 그었던 "잔 다르크" 부터, 그저 자신이 좋아했던 일을 밀고 나갔던 여성 비행사 "아멜리아" 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여성들이 등장한다. 미모를 이용해 부자들과 지도자들의 마음을 사로 잡았던 여인부터, 천부적인 재능을 꽃피워 보지도 못하고,

사회의 룰, 남자들의 그늘, 아래 짖눌리다 생을 마감한 여인도 있다.  

 

이 책이 말하는 "스캔들"은 문란하고 음란했던 여성들의 문화사를 이야기 하는 것이 아니다.

여성이 전면에 나설 수 없었던 남성들의 세상에서, 결코 대중적이지 못했고, 다소곳하지 못했던  "기센 여성"들의 이야기 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