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별 - 노희경 원작소설
노희경 지음 / 북로그컴퍼니 / 2010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어머니" 라는 역활이란 생각해보면 정말로 손해보는 역활이 아닐까 한다.

그들은 자신의 이름을 잃어버리고  "어머니" "아줌마" "00 엄마" 라는 명칭으로 불리운다.  게다가 임금 한번 받지 못하는

평생노동인 "집안일"에 매달려 남편의 수입에 기대거나, 능력에 비해서 인정받지 못하는 아르바이트로 생활비를 번다.

소수의 캐리어 우먼을 제외하면 그들은 평범한 아줌마로서 자식을 낳고, 키우고, 살림을 하고 가족을 뒷바라지 하며,

평생을 보내는것이다.


오늘날에는 여성의 사회진출이 어느정도 보편화 되었지만, 과거의 "여자"들은 자신의 성취감보다는 "공동체를 위한 희생"

을 강요당했다. 반평생 가족을 위해서 "자신"을 죽여온 사람들. 그러한 사람들을 우리는 "엄마" 라고 부른다.


작가는 "엄마"를 영원히 떠나보냈다. 

많은 사람들이 그렇겠지만, 작가도 엄마를 떠나 보내면서, 막심한 후회를 한다.   살아계실때 조금이나마 더 좋은것을

먹여드리고, 여행도 보내드리고, 같이 있으며 더 효도 할 껄!!!....


그러한 마음을 담은 소설이 바로 이것,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별" 이다.


소설속의 "엄마"도 가족을 위해서 자신을 버린 여느 아줌마와 같다. 아니 오히려 평범한 가정보다 더욱 열악하게 사는

아줌마이다. 치매에 걸린 시어머니를 모시고, 무뚝뚝한 남편을 뒷바라지 하며, 수험생인 아들을 챙기느라, 자신의 시간은

꿈도 못꾸는 그녀의 삶..

아가씨에서 어느덧 악착을 떠는 어줌마가 되어버린 그녀는, 자신이 아픈것도 뒤로하며 가족을 위해 살아간다.

가족들도 그러한 생활을 당연하게 받아들이지만, 그녀가 "말기암"의 판정을 받게 된 그 뒤부터, 이야기는 급격하게

우울해진다.


남은 여생조차, 어머니로서 살다간 주인공.. 그러한 신파극의 이야기를 접하면서, 나는 다시 한번 나의 어머니를

돌아보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