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슬 시티
김성령 지음 / 코리아닷컴(Korea.com)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유" 란 무엇인가??


역사적으로 자유를 위해서 많은 피가 흘렀고,  그 가치를 위해서 인생을 건 많은 사람들이 있었다. 

한국 또 한 평화. 자유를 위한 국가적 체제 "민주주의" 를 위해서  많은 피를 흘린 나라이다.   


그러기에 한국의 사람들은 민주주의를 신봉하고, 정치적으로 사상적으로 많은 관심을 두고 있다.

그러나 평화가 지속되고, 각박한 "자본주의"가 사람들의 삶을 눌러가면서, 많은 사람들이 지쳐가고 있는것이 오늘날의 현실...


그 현실 속에서 "자유"는 또다시 위기를 맞고 있다.

"지금의 청소년들은 그러한 생활에 진저리를 치고, 차라리 누군가가 일자리와, 삶의 길을 열어 주었으면...

하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라는 연구결과가 나와 사회는 큰 충격을 받았다.    


지나친 자유속에서,  돈과 권력이 되물림 되고,  없는 사람들에겐  "신분상승" 을 위해, 피를 토하는 노력을 요하면서,

그들이 잘 살지 못하는 현실을 "개개인의 노력부족"으로 치부하는 사회풍조..


현실의 부조리는 분명 존재하며, 자유주의&자본주의 란  "가진자" 들이 "못가진자" 들 위에 서기 위한 효과적인 방패

지나지 않는다는 의식..이 늘어나.... 결국 이러한 사회가 만들어지고 말았다.

사람들은 자신의 의지로 스스로 쟁취하려는 의지를 잃어가고 있다.


굳어진 "사회의 시스템" 속에서  살고. 먹고, 노후에 가난하게 살지 않기 위해서 모든것을 내놓고 노력하는 사회...




그 사회의 부조리를 생각한다면, 바이슬 시티는 천국이다.

사람들은 과중한 노력이 없어도 도시는 필요한 모든것을 공급해 준다. 의.식.주 모든것을 제공하고, 즐길것을 제공하고, 안전한 "치안"

을 제공하는 도시.. 투표권도 주어지고, 인권도 보장된다. 도시에서 제공되는 정보도 언제든지 청취 할 수있다. 그들에게 제한된 것은

"거주의 자유" 즉 다른 도시로 이주하지 못한다는 것 뿐이다.


일반인에게는 그야말로 편안한 삶이 보장된 도시이지만, 속내는 그렇지가 않다.

바이슬 시티는 원래 미국내의 범죄자들을 몰아넣기 위한 "알카트라즈" 역활을 수행하기 위해 제작된 도시이다.

그러나 그 도시를 창조한 "대부" 바이슬은 그보다 한단계 더 나아가 그 도시를 자신의 "왕국" 으로 만들어 나아갔다.

범죄집단의 자유를 허가해 그 대가로 막대한 돈을 받았고, 그 돈으로 도시를 발전시키고, 사람들에게 "복지" 를 제공했다.

당연히 편안한 삶을 제공하는 "바이슬정부"를 지지하는 사람들이 늘어갔고, 바이슬의 추동자들은 각자 "요직"을 차지해

바이슬 왕국을 위해서, 그리고 자신의 부와 권력 을 위해서 일하는 체제가 완성되었다.


실제로 "바이슬 시티"의 사람들은 거짓자유를 누리는 배부른 돼지가 되어갔다. 

그들은 조작된 사회 풍조에 속아 투표권을 행사했고, 사회가 제공하는 유흥과.마약에 빠져들었다.

소수파..이른바 "개혁파"들은 점차 힘을 잃어가 다수의 사람들에게 테러리스트.사회부적응자 취급을 받으며, 멸시당하는 상황..

진정한 "자유"를 회복시키려는 사람들은 바이슬 시티의 "공권력"에 의해서 차례차례 죽어간다.

도시의 평화를 위협하고 사회적 혼란을 일으키는 "범죄자" 들을 처단한다는 명목으로 소수파들은 박애를 받는다.

주인공인 네이튼과 시드니는 또한 학생의 신분으로 비이슬 시티의 "부조리" 와 싸웠다.

처음에는 "보수파"의 자손들의 무차별적인 학교폭력에 대항하는 작은 모임에 불과했으나, 점차 바이슬 시티의 사회에 대한

본질을 지적하는 정치적인 성격을 띈 모임이 되어 갔다.


결국 그들은 대규모 집회를 열었고, 그 결과 경찰의 손에 목숨을 잃는다.

어린 소년들의 죽음으로 인해서, 바이슬의 시민들은 지배자들의 "지배방식"에 의문을 품게 되고, 소수파와 시민들의 노력으로

결국 바이슬 시티는 진정한 "자유"를 쟁취 한다.... 라는 것이 이 책의 주된 내용이라 하겠다.


민주주의는 다수의,의견을 수렴하여, 국가의 정책을 수행하는 정치 체제이다.

개개인의 자유, 를 중요시하는 민주주의 속에서 절대적 다수가. "독재자" 를 원한다면??

사람들이 자유 속에서 힘들게 사는 것보다.. 소수의 절대자가 제공하는 편의와 복지에 만족하겠다...라고 생각하게 되었다면?

물론 역사는 돌고 도는 것이지만,  그떄가 되어서야..사람들은 진정한 자유를 쟁취 하기 위해서 또 다시 피를 흘려야 할까?

비록 소설이지만, 정말로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는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