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의 여신 1 - 그들, 여신을 사랑하다, 개정판
최문정 지음 / 다차원북스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日の丸の旗 히노마루노하타, 즉 "히노마루"는 "태양"을 상징한다.

태초에 신들에 의해 "신비의 땅이" 태어나 신들은 서로의 결합에 의해 태양의신 "아마테라스 오미카미"를 창조했다, 

최초의 진무천황 이후로 일본의 천황가는 태양의 자손으로서 오늘날까지 일본의 상징으로 이어지고 있다.

 

2세기 후반 (야오이 시대) 아마타미국의 새로운 주인으로 등극한  "히미코"는 일본역사상 최초의 여성군주 로 역사에

기록된 실존인물이다.

 

그러나 히미코는 "일본서기" 등에  단편적으로 등장하는 인물로서 실존인물에는 틀림이 없지만, 그의 출생부터,

집권기록에 댜한 실제적인 기록이 부족한 형편이다.  작가는 이러한 "히미코"를 사이토설을 중점으로

소설속 인물로서 재창조했다.  말그대로 이것은 픽션이다.. 이 소설은 역사적으로 임나일본설과, 백제와의 연관설을

공통으로 다루기 때문에 역사를 생각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사뭇 불쾌한 소설이 될수도 있다.

 

  

백제의 천민의 딸..히미코의 출생은 시작부터가 음모로 얼룩져 있다.

계모인 "미도리" 는 천민의 딸을 거두어 자신의 자식으로 키운다.. 미도리의 딸 "히미코" 는 미도리의 출세의 열쇠로서 키워지고 교육받는다.

"너는 나와 왕의 딸이자, 장차 왕이될 운명이다. 왕이되면, 나를 왕궁으로, 태후로 만들어 주어야 한다,

 나를 멸시한 사람들에게 복수를 해야 하느니.."   

 

히미코는 왕궁에 들어가, 왕족들의 멸시와,경계를 받으며 외로운 생활을 이어간다.

"왕의 성은을 입은것 뿐인 천한 기생의 딸"  왕궁은 히미코를 "공주"로 인정하지 않았다. 일방적인 따돌림에 히미코는 더욱 도도해지고,

냉정해져야 했다. "나는 왕이 될 운명이니까"

 

그러나 히미코는 왕이될 운명에서, 점차 멀어진다.  그는 왕의 명을 받아, 외교사절로서 백제에 보내진다.

인질과 다름없는 대우, 누구하나 공주로서 대우해주지 않는 "외국에서의 삶" 일본에서의 삶과 다름이 없는 외로운 삶.

점점 자신의 운명에 지쳐갈때..  그럴때면 그녀는 어김없이 자신을 위로해주는 두사람을 떠올린다.

하나는 자신의 "사촌오빠" 와타나베  그리고 "구다라(백제)의 왕자" 의후 

 

두 남자는 히미코를 위해서 무엇이든지 했다.

와타나베는 의후를 사랑한 히미코 그대로를 사랑했다.

왕으로서 마음만 먹으면, 그녀를 가지는 것은 일도 아니였다. 그녀를 자신만 바라보는 순종적인 아낙네로 만드는 것...

마음속 깊은곳에 품은 욕망을 그는 있는 힘껏 내리눌렀다.  "나는 왕이 될 것입니다.. 라며 담담하게 말하던 소녀"

어떠한 굴욕속에서도, 앞을 보며 당당하게 걸어나가는 강한 히미코를 사랑했다.

 

그런 히미코를 꺾어 버린다면......

 

그는 그런 만행을 저질러버린, 자기 자신을 용서하지 못할 것이다.  그러한 와타나베 였기에 미련없이 히미코에게

모든것을 줄 수 있었다. 왕위도, 사랑도, 그리고 자신의 몸까지 히미코를 위해서 모든것을 주었다.

와타나베는 결국 히미코를 지키다 목숨을 잃는다. 그럼에도 그는 히미코에게 어느것도 요구하지 않았다.

히미코는 그의 것이 아니다. 

 

모두를 비추는 태양.. 그것이 히미코의 진정한 모습이였기에...

 

의후는 히미코를 사랑했고, 히미코도 희후를 사랑했다. 운명의 장난으로 인해서 두사람의 사랑은 이루어 지지 못했지만,

그는 히미코의 꿈을 위해서 자신을 내주었다. 

일본을 백제로서 독립시킨다. "백제에 내주는 과도한 조공은 마땅히 백성을 위해서 써야 한다."

더이상 백성들이 굶주리며, 자식을 버리게 할수는 없어, "이나라를 버림받는 사람이 없는 아름다운 나라로 만들거야." 

      

백제의 왕자 의후는 순간적으로 히미코의 바램을 이루어줄 기지를 발휘한다.

일본토벌을 맡은 장수로서 의무를 다하고, 히미코의 꿈을 이루어줄 방법은 단 하나.. 의후는 군사를 이끌고 일본에 상륙한다.

그리고 히미코가 쏜, 화살을 향해 기꺼히 자신의 몸을 던진다.

 

일본은 백제의 토벌군을 훌륭하게 격퇴한다..  그러나 히미코는 마음이 무겁다.  그는 자신을 위해서 몸을 던진, 의후를 사랑했다.

그러나 그는 일본의 왕이였고. 자신의 행복보다, 일본의번영, 일본만민의 행복이 먼저였다.

그의 권력을 위해서 많은 피가 흘렀다. 그들 위해서 죽어간 많은 사람들에 대한 속죄로서 자신은 "여자 이여서는 안되었다."

세월이 흘러 일본은 번영했다, 왕이 되면서 "여자"이기를 포기했기에 그는 자식이 없다.  

와타나베가 남긴 단 하나의 "희망" 그의 후계자인 "쇼토쿠 태자" 는 점차 성장하며, 훌륭한 청년이 되었다.

그녀는 쇼토구에게서 와타나베의 모습을 본다, 자신을 위해서 모든것을 내놓은 바보같은 사내..

이제 그녀의 시대는 지나가고 새로운 시대가 도래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