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다의 편지 - 인류 문명에 대한 사색
최인훈 지음 / 삼인 / 2012년 1월
평점 :

"이 책의 본질을 파악해야 겠다.."
도데체 이 책은 무엇인가? 전문서인가? 문학서인가? 아니면, 작가의 철학을 담은 철학서인가?
본인이 이 책을 읽으면서 무엇보다, 궁금 했던 것은 "내용"이 아니였다. 윗글 처럼 이책의 "본질"을 파악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였다.
너무나도 모호하고, 주장하는 바가 다양하여, 개인적으로 몰입하기에 상당히 어려웠던 "바다의 편지"
작가 "최인훈"은 이책으로 독자들에게 어떠한 메시지를 전하고 싶었을까?
머무나도 어려웠던 책이기에, 처음에는 겉멋든 교수 나부랭이가 자신의 지식과 철학을 자랑하는 "쓸데없이 두꺼운 책"이라는
비아량에 가까운 마음도 들었다. 그러나 한번, 두번 다시 읽어 내려감으로서 이책의 내용을 이해하자 의외로 "무릎을 치며 공감하는"
이야기도 많았다.


["글을 읽을 시간이 없으면 들어라!!" 라는 것인가? 이책의 뒷면에는 음성이 들어간 시디도 동봉되어 있다.]
인간이 문명사회를 건설하고, 역사라는 것을 창조했다. 인간은 지구상의 모든 생물체와 비교해보면, 독창적이고, 자연의 법칙에
어느정도 왜곡된 삶을 살아가는 종족이다. 작가는 이러한 문명의 독특성을 두고 인간은 두개의 DNA를 지니고 있다고 주장한다.
생물(동물적) 본질과 미성(문화적) 본질 두개의 인자를 가진 인류는 "문화"라는 것을 지님으로서 다른 동물들과
다른 가치를 지닌다.
문화를 제외해도 인류는 동물과 다른 가치를 지닐 수 있을까??
공동체로 생활하며, 사회 시스템을구축하여, 능률적인 "단체"를 이룩한 사회 시스템은 "개미"와 "벌" 들도 가지고 있다.
자신의 감정과 의사소통을 전달하는 "언어"의 존재또한 다른 동물들도 원시적이지만,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족보행으로 손이 자유로워 "도구를 사용한다." 는 개념또한 원숭이, 심지어는 해달도 지닌 능력이다.
기술과.신체적 능력만으론 인간의 특수성을 구별 할 수 없다.
인간은 "문화" 라는것을 가지고, 감정을 기록하고 표출하고, 전달함으로서 희노애락을 공유했다.
문학과.문화 즉 "예술" 이야말로 인간을 인간답게 살게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라는것이 작가의 "인류 문명에 대한 사색" 인 것이다.
그러나 이책은 이러한 "문명사 적 이치"를 따지는 책이 아니다.
한국인 이상 어쩔수 없는 것인지, 이책 또한 한국인 특유의 "정치에 대한 이념"이 유난히 강하다.
책의 후반에 들어가면, 자유 민주주의와 북한의 "공산 독재주의"의 반감과 대립, 조선 왕조와 일본 제국간의 불화,
국가의 경영과 주권을 박탈당한 한국인에 대한 통찰과 자기반성, 그리고 국가 이데올로기와 주변국의 정세를 기록한
현대적인 사색 이 이 책의 주를 이루는 내용이다. 그러한 것이기에 자칫하면, 흥미를 잃고 책을 덮어 버릴 수도 있다.
공산주의와 민주주의의 이념적 대립으로, 전쟁을 치룬 한국은 지금도 그 이념 덕분에 분단되어 주변국의 관리와 견제를 받고 있다.
앞으로 북한과의 공존은 가능한가?? 강대국을 두고 상대적으로 약한 국가 "한국"은 어떠한 이념으로 국가를 다루고 유지 해야 하는가?
하는 정치적 지식을 읽고 싶다면, 이책을 추천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