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로 보고 그림으로 듣는 음악인류학 - 불교와 세계종교
윤소희 지음 / 민족사 / 202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의 소장품 중에는 조금 특별한 음반이 있다. 그것은 바로 [고고학 연구로 만들어낸 고대 이집트 음악] 이에 짧게 설명하자면 피라미드 부조에 기록되어진 자료를 바탕으로 음색을 연구하고 복원한 것이라던데... 결국 그 음악을 들어본 입장에서 제일 먼저 들었던 감상은? '내가 지금껏 알고 있었던 고대 이집트 음악과는 전혀 다르다." 라는 것이였다.

그렇다면 이러한 새로운 지식을 알게 되었다고 해서 '나'에게는 어떠한 이익이 있을까? 물론 내가 다른 여러 사람들에게 커다란 영향을 끼치는 것도 불가능할 뿐만이 아니라, 애초부터 고대의 음악의 진실여부 따위는 일부 마니아를 제외하고는 관심밖의 지식에 불과하다. 그렇기에 어쩌면 이 책의 주제인 불교 음악 또한 현대에 이르러선 위와 같은 지위에 놓인 것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물론 깊이 생각해보면, 오래도록 한반도의 역사속에서 뿌리 내려온 한민족의 음악이니 '귀중하다' 라고 정의할 수 있겠으나, 이미 사람들의 귀와 입을 통해서 흘러나오는 '대중가요'와 비교한다면 그 영향력은 매우 빈약하기만 한 것도 사실이겠다.

불교음악에 대해서 무엇을 써야 하나... 단순히 불교의 음악이 지금껏 한국문화에 어떠한 존재로 남아있게 되었는가 에 대한 내용? 아니면 불교음악이 예식, 미술과 접목하여 그 특유의 종교관 형성에 얼마만큼 공헌하였는가에 대한 역사적 평가와 정의를 써내려가야 할까?

이처럼 오래도록 역사에 흥미를 둔 나 역시도 생소하고 낮선 한국의 불교에 대한 내용을 써내려가기위해서 그 나름대로의 공부와 준비가 필요했다.

그러나 굳이 음악을 들어도 생소하기만 하고, 도리어 외국의 클래식이 더 친숙하게 느껴지는 '나' 허나 그 옛날의 불교 음악인들은 적어도 스스로의 음을 만들어내기 위해서 손가락을 이용한 기교의 현란함이 아니라 자신의 영혼을 만족시키는 수단이자 평생을 추구하는 목표였던 성불, 즉 부처님에 다가서기 위한 과정 속에서 그 인간 스스로가 번뇌 등을 벗어나는 무아지경에 이르기 위한 방법중 하나로서 소리를 창조해낸 것이였다.

때문에 불교의 음악은 단순히 세속을 벗어난 종교의 음악이 아닌, 당시 모든 인간이 목표로하는 깨달음 또는 때때로 괴로운 인간의 삶에 있어서, 그 일부를 치유하는 역활을 했다는 것에서 나름 오늘날 인문학적 가치를 지닌 것이라 이해가 가능하다. 그야말로 인간의 삶과 일상 그리고 의식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궁극적으로 인간의 행복은 어떠한 상태에 도달한 것인가?에 대한 나름의 해답에 도달한 과정 중 하나...

그야말로 오늘날 사람들이 스스로 스트레스에서 벗어나기 위해 (정신적 휴식과 안정) 음악을 듣는다고 한다면 역시나 옛 사람들 또한 오롯이 스스로가 지닌 목적을 가지고 음악을 창조하고 또 접근하였음을 이 책을 통해 다시끔 알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