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하기에, 사람들이 소설을 접하는 제일의 이유에는 먼저 이야기가 드러내는 주제에 따라 다양한 간접체험을 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 아닌가 한다. 예를 들어 위대한 캐츠비에서 보여지는 1922년의 뉴욕, 셜록홈즈 시리즈를 통해 들여다보는 빅토리아 시대의 런던거리, 심지어 작가의 창의성이 더해진 돌킨의 판타지 세계에 이르기까지... 그야말로 책장에서 꺼내 펼쳐 읽기만 한다면, 책은 충실한 안내자로서 독자들을 저마다의 시대로 이끈다.
그렇기에 이 책의 주제인 한반도의 문학 속에서, 특히 구성중 하나인 '음식'의 역활 또한 분명 오랜 시간이 지나 '더는 옛 시대적 한계에 따른 (여러)상황을 겪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적어도 한민족으로서 공유하는 문화와 시대적 공감대를 통해 현실과 창작 사이의 연결점이 되어준다.
예를 들어 소설 '운수 좋은 날'에서 김 첨지가 사들고 온 설렁탕 한 그릇은 그 시대 뿐만이 아닌 오늘날에도 거리 곳곳을 쏘다니다 들를 수 있는 대표적인 대중음식에 속한다. 그렇기에 아무리 현대 한국인의 입맛 상당부분이 세계화에 맞추어 변화했다 하여도 과거 된장찌개와 국간장으로 맛을 낸 미역국의 맛을 알지 못할 정도로 한반도 식문화는 단절되기는 커녕, 많은 부분에서 여전히 그 맥을 이어오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올바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