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번째 대멸종 시그널, 식량 전쟁 - 기후 변화와 식량 위기로 포착하는 파국의 신호들 서가명강 시리즈 34
남재철 지음 / 21세기북스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날 기후위기와 같은 환경적 위기를 주장하는 여러 매채가 등장하는 가운데, 분명 이 책은 그러한 것에서 더 나아가 보다 심각한 미래가 도래할 수 있음을 경고하는 책으로 이해할 수 밖에 없다. 그도 그럴것이 위기라 함은 해당되는 현상 등에 대비함으로서 보다 완화된 변화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지만, 이 책의 제목과 같이 식량이 부족해짐으로서 인류 스스로가 멸종에 가까운 타격을 받는다는 것은 말 그대로 '인류의 끝'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미 나름 기후위기가 '현실화 되어가고 있는 오늘날' 적어도 내가 살아가는 사회 공동체 안에서 식량이 부족하는 일은 일어나지 않았기에, 과연 세계가 어떻게 식량 전쟁을 일으킬수 있을지 상상하기는 어렵다. 도리어 환경의 위기가 아니라, 어기저기 일어나는 전쟁 차제로 인하여 우크라이나의 식량이 제배되기 않거나, 각 국가들의 식량 확보로 인한 인위적인 사건으로 인하여, 식량과 이를 가공한 식품의 가격이 오르는 현상을 통해 아직까지는 환경보다는 세계의 정세와 정치의 영향력이 인간의 멸망에 더 직접적인 위기를 가져올 것이라는 것이 현실적인 주장일 수 있다.

다만 그렇다고 해서 오늘날에도 느낄 수 있는 계절의 변화, 천재지변의 원인 등을 단순히 이전과 달라졌다는 환경의 변화로 치부하는 것 또한 매우 위험하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해) 알게된다. 물론 독자들과는 달리 다른 여러 다큐멘터리나 교육적 목적을 가진 매체들을 들여다 보아도 현재 환경의 변화가 자연적인 것이 아닌, 인류 스스로가 폭발적인 성장과 확산을 통해 생산한 공해로 인하여 생겨난 것임을 알게 된다. 그러나 이 책은 더 나아가 이러한 환경적 변화가 지속된다면, 먼저 극적인 환경적 재앙... 즉 태풍과 해수면의 변화 등의 급변하는 재앙이 아니라, 서서히 오늘날 당연한 것이라 생각했던 것들을 앗아가며, 인간 스스로가 그 부족함에 허덕이다 서로를 죽이는 지경에 이를 것이라 경고한다.

과연 그러한 세기말적인 미래가 도래할 것인가? 아니면 지금이라도 환경과 기후에 관심을 가지고 또 이미 변화한 환경에 이전과는 다른 농업적 기술을 발전시켜 '식량의 자립'이 가능한 국가로 거듭나게 할 것인가? 결국 이 책은 그 이후의 미래를 대비하는 여러 주문을 통해 먼저 나라 스스로가 위의 여러 위기에 있어 효과적인 대비를 할 필요성을 공유하고 또 현실화 하기를 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