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 스파이 - 나치의 원자폭탄 개발을 필사적으로 막은 과학자와 스파이들
샘 킨 지음, 이충호 옮김 / 해나무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2차대전의 역사 속에서 '멘하탄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한 미국의 원자폭탄 제조계획은 당시 극비리에 진행된 계획임에도 불구하고 오랜시간이 지난 오늘날에 있어선 (비교적) 성공적인 국가와, 과학기술적 성과로서 그 세세한 에피소드까지 알려져 있기도 하다. 때문에 원자폭탄의 개발과 사용에 있어 발생한 인류의 보편적인 딜레마를 설명할때도 그 중심에는 핵의 위험성을 인지하였음에도 그것을 사용한 국가 '미국'이 드러난다.

그러나 이 책은 위의 결과에 도출되기 이전의 단계에서 핵폭탄의 위력에 주목한 또 하나의 국가 '독일 제3제국'을 배경으로 하나의 과학적 경쟁구도를 더한 '스파이물'에 가까운 역사를 그리고 있다. 예를 들어 '아인슈타인'과 같은 뛰어난 과학자들이 미국으로 망명하는 것을 돕는 것에 더하여, 당시 독일이 얼마만큼의 연구적 성과를 거두었는가?에 대한 기밀을 유출하려 하거나, 심지어 비밀 연구시설이나 발전소 등을 목표로 한 파괴공작을 통해 실질적으로 독일은 핵개발에 있어 커다란 어려움을 겪었을 것이다.

이처럼 최초의 절대병기를 손에 놓기 위한 경쟁의 구도 속에서, 미국이 독주하고 또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한 이야기가 바로 이 책의 주요한 주제라 생각한다. 그리고 그 성공을 통해 연합국은 일본제국과의 전쟁에서 압도적인 위력을 드러내며 항복시킴으로서, 그 스스로의 입장에서 '가장 적은 피를 흘린 전쟁'을 마무리했다. 물론 중요한 것은 핵무기의 등장이 한 때의 전쟁을 끝낸 마침표가 아닌,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세계질서의 구축, 이후 두번째로 핵무기 생산에 성공한 소련과의 경쟁을 통해서 불완전한 평화, 경쟁 속의 평화라는 (새로운)냉전의 시대를 만들었다는 것에 있다.

물론 그것이 세상에 가장 이상적인 평화와 균형의 모습은 아닐것이다. 그러나 현대 역사에 비추어 이 책 속의 무수한 신념과 노력... 또는 고뇌와 실현이 만들어낸 결과를 통해서, 이에 그 이후의 시대를 살아가는 '나'에게 있어서는 결국 이 모든것을 마주하며, 나름대로의 역사관을 만들 필요성을 느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