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유의 충돌과 융합 - 동아시아를 만든 세 가지 생각 역사의 시그니처 2
최광식 지음 / 21세기북스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종의 '문화권'을 설명할때, 이에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바로 저마다 어떠한 형태로서 '윤리 규범과 사상 등을 형성(하고 공유)하는가에 대한 것일터다. 예를 들어 서양의 기독교는 단순한 유일신을 모시는 종교만이 아니라, 그 세력권내에 있는 수 많은 문명권에 있어서 (비교적)막대한 윤리적 가치관을 제공해왔다. 물론 그러한 가치를 통해 역사에 비추어 수 많은 광기와 오만함을 드러낸 사건들이 일어 났으며, 이에 오랜 시간이 지난 오늘날 현대사회의 질서를 유지하는데는 법률과 같은 사회적 규범 등이 보다 커다란 영향력을 미치게 되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굳이) '무엇이 사람들에게 선악을 구분하게 하는가?' 하는 질문을 던진다면 역시나 오랜 종교적 윤리관에 기댄 해답이 돌아올 가능성이 클 것이다.

이에 반대로 동양세계에 눈을 돌리면, 한 줄기의 커다란 진리가 아닌 보다 다양한 '진리 추구'가 충돌하고 또 융합되어진 모습이 눈에 들어온다. 물론 그러한 과정은 결코(진리와는 동떨어진) 평화적인 것이 아니였을 것이다. 예를 들어 공자의 유교, 석가모니의 불교, 무위자연설을 근간으로 하는 민족 종교인 도교과 그 밖에 동북아 수 많은 문명 사이에서 형성되어진 토착종교들이 오늘날의 종교관처럼 융합되기까지 얼마나 많은 갈등과 충돌을 불러 일으켜왔을까? 더욱이 이러한 진리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정치와 통치를 수행해야 하는 국가와 지도자의 입장에서는 더더욱 그 갈등을 조정하고 나름 필요한 사상적 가치관을 융성하게 할 필요성을 절감했을 것이 분명하다.

이후 통치이념으로 기능한 유교는 사회윤리의 규범이 되었으며, 불교는 내세를 위한 신앙으로 숭상되었고, 도교는 일상의 삶에서 재앙을 쫓고 복을 부르는 기능을 하였다. 이처럼 삼교가 서로 충돌하지 않고 하나로 융합되어 간 것이다.

65쪽 동아시아 정치 철학의 확립

각설하고 이 책은 동북아 고대사회부터 형성된 독특한 '윤리와 정치관'이 그 어떠한 방향성을 가지고 확산되었는가... 또는 (풀이하여) 고대 중화 문명과 한반도, 일본에 이르는 커다란 문명권에 녹아들어 커다란 동양사상으로서 융합되었는가? 에 대한 탐구를 위하여 지어졌다는 감상을 준다. 이를 위해서 저자 또한 위에 언급한 다양한 고대 국가들의 관계와 교류 또는 융성과 몰락의 역사와 그를 증명하는 수 많는 기록을 통해 그 결과의 이면에 있는 가치관의 융합과 충돌의 진행과정을 드러낸다.

특히 융합이란 단순히 상대의 것을 받아들이는 것이 아닌 이미 지니고 있는 것과 새로운 것을 녹여내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 것이기에, 이에 저자는 단순히 어느 특수한 사상이 보다 선진적이고 막대한 영향력을 미쳤다고 주장하는 것이 아닌 이러한 사상의 확산이 불러온 보편적인 (동북아)세계질서의 확립과 그 세계관 속에서 관계를 유지한 문명의 특징을 살펴보고, 결국 서로간의 문화 등의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오랜 융합의 과정을 바탕으로 한 올바른 도적적 개념과 '인간관'을 공유하게 되었는가에 대한 교류의 역사를 되짚어보며, 오늘날 만연해진 혐오와 '외곡되어진 역사관' 등이 바로잡혀지기를 소망한다.

결국 이 책에서 가장 중요하게 주장하는 가치는 화합이다. 물론 기나긴 역사 속에서 서로의 문화를 존중하는 것이 아닌 국력을 바탕으로 서열을 강요하거나 문명과 야만을 구분지었던 역사가 없었던 것도 아니였으나, 그렇다고 다른 것을 억지로 배척하고 혐오하며, 자신 스스로를 두꺼운 껍질에 가둔 행동의 결과가 어떠했는지는 굳이 '십자군' 같은 사건 만이 아닌 대한민국 이전의 역사를 살펴보아도 보다 확실하게 알 수 있다.


지배층 내부의 균열은 고구려 멸망의 결정적인 이유였다. 여기에는 사상계의 분열로 나라가 구심점을 잃고, 국력을 하나로 모으는 결집력을 발휘하지 못한 탓이 무엇보다 컸다. 그 전조는 바로 도교의 수용이였으며, 도교의 장려와 불교의 탄압은 사상계의 분열을 초래하였다.

143쪽 고구려의 편향된 도교 진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