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윈의 사도들 - 최재천이 만난 다윈주의자들 드디어 다윈 6
최재천 지음, 다윈 포럼 기획 / 사이언스북스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찰스 다윈이라 하면 생각이 나는 대표적인 책 '종의 기원'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결국 다윈을 이해하기 위해 다가서야 하는 것은 자연 선택적 진화의 다양성을 인지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때문에 어느 한 과학자의 학문적 깊이를 따지는 것이 아닌 보다 다양한 학자들의 의견과 토론을 기록한 이 책의 특성은 결국 어느 주제를 통해 폭넓은 탐구가 가능하다는 점에 있어서 제목 그대로의 '다윈의 사도'를 칭하는데 손색이 없다고 믿는다.

각설하고 생물학적인 입장에서 나는 진화론의 학문적 정의에 대하여 대단히 신뢰하는 편이다. 물론 세상에는 아직 창조론을 강하게 주장하는 사람과 함께 자연 진화의 일부 가설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도 많지만, 적어도 이 책의 내용 중에서는 인류의 기원과 성장(진화)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보다 진보적인 통찰에 필요한 여러 견애를 드러나는 것이 반가웠다.

이처럼 인류의 진화의 과정에서도 이전 단계적 진화와 그 목적증명이 중요하였다면, 반대로 현대적 진화의 모습은 자연적으로 확산되어지는 분포적 특성을 추구하는 일면이 있다. 결국 이는 이전 다양한 철학적 논점에서 보여졌던 원인과 목적 또는 결과에 주목했던 시선을 탈피하는데 커다란 전환점을 가져다 주는 것이라 믿는다. 물론 이 책은 다윈의 이러한 철학적 특성을 생물학 뿐만이 아닌 인류의 다양한 철학과 종교 또는 과학적 통찰의 토대로 삼기를 기대한다. 과거 진화론이 생물의 탄생의 영역을 종교적 통념에서 과학적 개념으로 이전시킨것과 같이 인간에게 있어 중요한 가치를 지니는 보다 다양한 지식에 대한 다원의 개념에 비친 논증과 견애가 확산된다면? 적어도 나는 그러한 개념이 정착되어는 사회는 보다 더욱 더 풍요로운 성과와 성찰이 가능해지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