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조仁祖 1636 - 혼군의 전쟁, 병자호란
유근표 지음 / 북루덴스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왜 조선은 굴욕을 당했나. 이에 과거 한반도의 역사에서 '병자호란'은 단순히 굴욕당했다는 사실 이상의 생각 거리를 가져다 준다. 예를 들어 아무리 조선이 임진왜란과 인조반정 거치며 내외적으로 어려웠다고 하더라도, 실질적으로 위협이 되는 청나라의 성장과 그로 인한 국제적 세력균형의 변화를 세밀히 감지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았다는 사실은 곧 조선 스스로가 '삼전도의 굴욕' 을 초래했다는 후대의 비판적인 인식을 만들기도 하였다.

때문에 후대의 많은 사람들은 당시 조선과 조정이 무엇때문에 이전의 외교정책을 수정하지 않았는가?... 아니 명나라를 섬긴다는 이념을 왜 포기하지 않았는가? 하는 궁금증을 가진다. 당시 실질적인 위협으로 성장한 청나라의 존재를 모르는 것도 아니였고, 이후 북벌을 논하며 청나라와의 전쟁 가능성도 열어두었던 조선은 그 어떠한 정보와 분석을 통해 그리 용감한? 모습을 보일 수 있었을까?

오늘날 일부 학자들 간에는 병자호란 발발의 책임이 청 태종에게 있다고 주장하기도 하나. 이 책은 전란의 책임이 인조에게 있다는 관점에서 기술하고 있다. (...)

8쪽 서문

결국 조선의 무책임하고 무모한 분석과 행동은 곧 청이 군사를 일으킬 명분을 제공했다. 물론 타국을 침략하는 행위 자체가 올바른 것인가? 하는 (현대적인) 윤리적 가치를 가늠해보는 것도 좋겠지만, 그보다도 적어도 이 책을 통해 바라보아야 할 것은 당시의 시대적 변화와 이후 청나라가 궁극적으로 목표로 하는 바를 성취하기 위해서 조선은 어떠한 존재였는가를 생각해보는 그 시대의 국제정세에 대한 영역(중요성)이 더 크다 생각이 된다.

때문에 이후 병자호란의 발발과 결과를 통하여 조선이 보여주는 제일의 교훈은 이전 그들의 목숨까지도 걸었던 '역사적 사회적 의식체계'가 진정한 위협 앞에서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에 조선은 커다란 실수를 했다. 물론 그 대가에 대하여 조선의 국정을 맡은 신하들(조정) 뿐만이 아니라, 조선의 지배권을 지닌 왕 '인조' 또한 부정적인 역사적 비판을 피해갈 수 없을 것이다.

이에 오늘날의 후손들은 과거의 조선이 조금 다른 선택을 했었기를 바란다. 적어도 이전의 사대주의를 내려놓고, 좀 더 현실적인 모습을 보이지를 아니, 좀 더 영악하고 비정한 선택을 통해 철저하게 조선의 이익을 추구했다면 어쩌면 청나라의 '실력행사'를 피할수도 있었을 것이다. 물론 현대의 국제적 마인드 또한 흔히 일반인이 생각하는 가치관과는 다른 형태의 '완고함'이 있다. 그러나 과거 조선이 선택한 사상적 완고함에는 오늘날의 국제적 마인드 사이에서 중요한 '실리'라는 요소가 빠져있다.

(...) 청 태종은 조선의 사대부들이 책은 많이 읽어 머릿속에 든 것은 많으나, 실행력이 모자람을 누차 지적했고, 이번에도 그것을 꼬집었다. (...)

289쪽

이에 굳이 주장하겠지만 과거 조선의 사람들이 모두 바보는 아니다. 그들 또한 당시의 왕권의 정통성을 어떻게 정립하는가, 외교적으로 적대하는 청나라의 침략에 어떻게 대비하는가에 따른 나름의 대책을 내놓았고 준비했다. 다만 그 믿음은 실질적인 폭력앞에 무력했고, 준비는 청나라의 실력앞에 부족했을 뿐이다. 그렇다면 지금 우리는 이러한 역사를 바라보면서 어떠한 교훈을 얻을 수 있는가?

물론 그에는 수 많은 해답이 있겠지만, 나는 그 무엇보다 현실적인 이익과 미래의 위협을 분석할 때, 때론 비겁하지만, 이기적인 완고함을 선택해야 할 때도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라 여긴다. '세상에 변하지 않는 것은 없다'라는 말처럼 오롯이 절대적인 가치와 정의가 있다고 믿는 것도 결국 때때로 나라와 국민을 불행으로 이끌 때가 있다는 것을 바로 이 역사가 보여주고 있다.

망국의 백성에게는 그 어떤 선택권도 없다는 것은 큰 나라 중국(명나라)도 비켜갈 수가 없었던 것이다. (...) 성안 전체가 잿더미가 되어 잠자리는 물론 양식조차도 없었다. (...)

30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