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의 역습 - 금리는 어떻게 부의 질서를 뒤흔드는가
에드워드 챈슬러 지음, 임상훈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경제가 어렵다' 라는 말이 무척이나 와 닿는 날이 있지 않나 싶다. 더군다나 한때 투자와 코인과 같은 리스크가 큰 고수익을 추구하며 저축에 큰 매력을 느끼지 않던 사람들이 어느새 고금리에 이끌려 은행으로 몰려 장사진을 이룬것을 직접 눈으로 목격하기도 하였기에, 결국 이 대한민국에 미친 불안과 불확실의 그늘이 많은 사람들에게 '안정'을 갈구하게 만들었다. 라고 생각해도 좋을 것이다.

이에 '높아진 금리'는 물론 예금자에게는 반가운 것이겠지만, 반대로 은행에 빚을지고 있는 자들에게는 커다란 위협이자 고통으로 다가온다. 예를 들어 언론 등에 등장한 영끌족에서 오래도록 코로나로 인하여 고통받았던 (대출을 받는 소상공인에 이르기까지, 이전과는 차원이 다른 높은 이자를 감내해야 하는 현실이 다가왔다는 것은 자칫하면 그들을 (금융과 신용 사이의) 막다른 절벽으로 내모는 위협이 될 수도 있다.

초저금리는 기업의 차입과 투자를 유도한다고 예상할 수 있다. (...) 미국과 유럽의 경제는 과잉 설비라는 부담에 시달렸다. (...)

261쪽

각설하고 둔화 된 경제를 다시 '활성화 하기 위하여' 오래도록 사용된 방법은 저금리를 유지하는 것이였다. 이에 기대할 수 있는 대출의 확대, 신 사업과 투자의 증가 등을 통해서 결과적으로 경제에 활력을 이끌어내는 해당 '방법론' 이 많은 사람들에게 믿어 의심치 않은 '상식'으로 자리잡은 이때, 도리어 앞으로는 높은 금리를 유지하여, 부실 금융을 제거하는 일종의 개혁을 주장한 이 책의 내용은 물론 그 주제에는 공감이 가지만 무척이나 생소하다는 감상도 지우기 힘들다.

실제로 독자인 '나'는 저금리의 시대를 살아왔다. 때문에 성실한 노동과 급여가 아니면 달리 돈을 불리는 효과적인 수단도 기대할 수 없었던 만큼 생활 속에서 금융은 크게 긍정적이지도 또 불만스러운 것도 없는 희미한 존재로 보여졌다. 그러나 그러한 흐름 속에서 정작 금융은 제한된 환경 즉 '한정된 자본의 존재'를 고려하지 않은 무제한으로 자본을 창조한 덕을 톡톡히 보았다는 내용은 결과적으로 지금의 저금리시대를 불신하게 만든다.

결국 금리를 정하는 '중앙은행' 에서 시작하는 자본의 창출이 이 시대에 어떠한 현상을 만들었가는 앞으로 미래에 다른 개선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힘을 더한다. 예들 들어 코로나로 인한 경제를 되살리는데 세계적으로 쏟아부은 '자본'이 어디로 흘러들어 갔는가? 물론 과거에는 자본의 흐름이 제조업과 같은 산업과 상업의 발전에 밑거름이 되었지만, 이제는 그러한 현상은 극히 미미하다. 도리어 많은 이들이 선택한 '투자의 광풍'을 통해서 이제 앞으로의 경제는 과거와 어떠한 단절과 개선을 해야 할까? 적어도 나는 이 책을 모두 이해하지는 못했지만, 적어도 위의 고뇌만큼은 이해할 수 있었다고 주장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