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사로 본 중국왕조사 - 한 권으로 읽는 오천년 중국왕조사
이동연 지음 / 창해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국의 오랜 사상과 문화... 특히 유학으로 불리우는 독특한 학문 (또는 사회윤리)은 오랜 시간이 지난 오늘날 특히 다른 국가인 대한민국의 사회통념에 비추어 생각해보아도 매우 큰 영향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유학을 배경으로 한 '예'의 개념이 아니라면 많은 한국인들은 어떻게 사람의 선과 악을 구분하고 또 사람으로서의 아름다운 마음가짐을 가다듬을 수 있겠는가? 때문에 비록 사회의 변화 속에서 그 전통적 사상이 (크게)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결국 인간으로서 지녀야 하는 윤리관이 퇴색되지 않는 이 오랜 중국의 사상 또한 그 명맥을 이어갈 것이 분명하다.

그렇기에 그 사상의 발현지인 중국의 역사, 또는 사상의 변화와 함께 바뀌는 역대 중국 왕조의 모습을 관찰하고자 하는 이 책의 내용은 개인적으로 큰 궁금증을 낳았다. 애초에 수 많은 학자들이 저마다의 철학을 구축 할 수 있었던 이유에는 그 당시의 중국이 처한 환경이 큰 영향을 주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노자와 공자가 동양 사상의 기초를 마련하고, 삼진이 세워진 후 천하 대란이라는 전국시대로 접어든다. (...) 이런 현실에서 공자와 노자의 사상도 너무 이상적이라 도전받았다.

133쪽 주나라

국가의 몰락과 혼란... 분열와 정복이 반복되는 불안정한 시대. 이때 많은 사람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한 것은 '강력한 통치'라고 이해한다. 그야말로 진시황제의 통일제도와 함께 발현된 '중화의 인식'은 여러 문화와 인종의 차이를 극복하고 이를 통합시킨 최대의 접착제의 역활을 수행해왔다. 그러나 그 못지 않게 중화 문명의 발전 사이에서 각각의 왕조들이 (비교적) 오랜 사상 등을 배척하지 않은 이유를 생각해본다면 결국 이 사상이 가져다 주는 고유성이 정신적으로 중국인들을 감화시키는 특징이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결국 중국의 문화와 전통의 이면에는 그의 고유한 철학과 사상의 발전이 함께한다. 더욱이 오래전부터 확대지향적인 역사를 반복해온 중국의 어제와 오늘의 변화 또는 위협에 대한 효과적인 분석을 위해서도 그 중국의 내면을 만들어낸 오랜 사상의 존재를 이해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에 (유독)이 책에서 배워야 할 것이 있다면, 사상은 언제나 그 당시의 현실을 반영하고 또 이를 받아들이는 것에 있어서도 보다 유연한 사고가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것이라 생각한다. 예들 들어 그 아무리 윤리적으로 올바른 철학이 장려된다 하더라도 이를 토대로 한 고조 유방은 한나라를 세웠지만, 송나라는 문치주의의 폐단을 말미암아 '정강의 변'을 맞이했다는 것을 생각해보자.

각설하고 오래도록 중국 왕조의 등장과 몰락 속에서 '사상'만이 그 고유의 철학과 순수성을 간직해왔다고 생각하는 것은 너무나도 순진하다. 결국 사람이 학문을 이해하는 것, 사회가 그러한 학문적 해석을 통하여 어떠한 통념을 만들어내고 또 건전성을 유지했는가? 그리고 그것에 더해 새로운 현상과 종교 또는 분쟁을 맞이하여 어떻게 오랜 사상 등을 비추어 변화시켰는가는 결국 그 국가의 흥망성쇠를 결정지었다. 바로 그러한 역사의 면면을 바라보는 것... 그것이 이 책이 주는 최고의 교훈이자 재미가 아닌가 한다.

수 문제 시기는 마치 요순시대 같았다. 어떻게 가능했을까? (...) 그 많은 위진남북조의 군주들은 왜 명멸했을까? (...)

329쪽 수나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